♣태을고(太乙膏) ♣
◈治五發癰疽一切惡瘡及蛇虎犬蝎幷湯火刀斧打撲損傷可內服外貼 ◈5발, 옹저, 여러 가지 악창과 뱀, 범, 개, 전갈 등이나 끓는 물이나 불이나 칼, 도끼에 상한 것, 타박상을 치료하는데 먹기도 하고 붙이기도 한다.
◈若作丸服之則蛤粉爲衣 ◈만일 알약을 만들어 먹을 때에는 겉에 조가비가루[蛤粉]를 입혀야 한다.
◈一名神仙太乙膏(方見雜方) ◈일명 신선태을고(神仙太乙膏) (神仙太乙膏, 처방은 잡방에 있다)라고도 한다.
=================================================================================== 출처 ; 의종금감(醫宗金鑑)(1742년) 편명 ; 편집정골심법요지(編輯正骨心法要旨)-내치잡증법(內治雜證法)-보유방(補遺方)
내용 ; 옹저(癰疽), 악창(惡瘡), 충독(蟲毒)이나 불, 칼, 도끼 등에 상한 것 또는 타박상(打撲傷)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당귀(當歸): 마유(麻油): 생지황(生地黃):
조제용법 ; 세가지 약을 기름에 넣고 튀겨 말려 찌꺼기를 제거하고 다시면으로 걸러 깨끗하게 하여 다시 깨끗한 솥에 넣고 적수가흩어지지않을 정도로 볶아 초비황단8냥을 넣고 또 만화를 사용하여 적수가 구슬을이루도록 볶아 일어난 소경을 취하여 백랍 황랍 각1냥을 넣고 미화로 다시 볶아 일어난 소정을 취하고 거유한 유향 몰약 각5돈을 넣고 섞어 용기내에 넣고 3일을 묵혀 붙인다(三味入油內炸枯,去渣,再以絲棉濾淨,再入淨鍋,熬至滴水不散,入炒飛黃丹八兩,又用慢火,熬至滴水成珠,取起少頃,入白蠟、黃蠟,各一兩,微火再熬,取起少定,入去油淨乳香、沒藥各五錢攪勻,收瓷器內,過三宿可貼).
주치병증 생기(生肌) (1) 부스럼이 생겨 살이 썩어 문드러진 곳에서 새살이 돋아나는 것을 말함. (2) 치료법. 새살이 돋아나도록 치료하는 것을 말함.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내용 ; 옹저(癰疽), 악창(惡瘡), 충독(蟲毒)이나 불, 칼, 도끼 등에 상한 것 또는 타박상(打撲傷)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당귀(當歸): 37.5 g. 대황(大黃): 37.5 g. 마유(麻油): 600 g. 백지(白芷): 37.5 g. 생지황(生地黃): 37.5 g. 육계(肉桂): 37.5 g. 적작약(赤芍藥): 37.5 g. 현삼(玄蔘): 37.5 g. 황단(黃丹): 300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참기름에 봄에는 5일, 여름에는 3일, 가을에는 7일, 겨울에는 10일 동안 담가두었다가 약한 불에 백지가 누렇게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황단을 넣고 고루 젓다가 꺼내서 엉킨 다음 조각을 내어 쓴다. 만일 알약을 만들어 먹을 때에는 겉에 조가비가루(蛤粉)를 입혀야 한다.
주치병증 악창종독(惡瘡腫毒) 악창(惡瘡)으로 붓는 것, 양방병증 ; 종기
오발옹저(五發癰疽) 오발(五發) 다섯 곳에 발생하는 옹저. 발뇌(發腦), 발빈(發鬢), 발미(發眉), 발이(發頤), 발배(發背) 등을 말함. 외감육음(外感六淫), 내상칠정(內傷七情), 식상(食傷), 외상(外傷) 등으로 열독(熱毒)이 몰려 생김. 옹저의 국소적 증상에 두통, 오심, 오한, 발열, 기천(氣喘), 경련 등이 따름.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응고(善應膏) (0) | 2016.01.07 |
---|---|
운모고(雲母膏) (0) | 2016.01.07 |
영응고(靈應膏) (0) | 2016.01.07 |
만응고(萬應膏) (0) | 2016.01.07 |
신이고(神異膏)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