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응고(靈應膏) ♣
◈治五發癰疽惡瘡岤嵤結核乳癰貼之則未成膿者自消已成膿者便潰惡肉易去新肉早生其效如神(方見雜方) ◈5발, 옹저, 악창, 나력, 멍울이 진 것, 유옹을 치료한다. 곪지 않은데 붙이면 저절로 삭고 이미 곪은 데 붙이면 곧 터지고 궂은 살이 잘 없어지며 새살이 살아나는데 그 효과가 아주 좋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一名麥飯石膏《精要》 ◈일명 맥반석고(麥飯石膏)라고도 한다[정요].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정요(精要)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구(卷九) 잡방(雜方)
내용 ; 옹저오발증(癰疽五發證), 악창(惡瘡), 나력(瘰癧), 결핵(結核), 유옹(乳癰)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녹각(鹿角): 150 g. 약성이 남게 태운다. 백렴(白薟): 75 g. 백맥반석(白麥飯石): 75 g. 불에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그기를 10여 번 하여 몹시 부드럽게 가루낸다.
조제용법 ; 쌀초(米醋)를 은이나 돌그릇에 넣고 끓어 오를 때 약가루를 넣고 참대주걱으로 저으면서 달여 걸쭉해지면 꺼내어 식힌다. 그리고 돼지발굽을 달인 물이나 약물로 환처를 씻어버린 다음 약재를 바르고 돈잎만한 구멍하나를 남겨놓아 고름과 피가 나오게 하고 고약이 마르면 식초로 적셔주고 10일 동안은 하루 1번씩 씻고 갈아 붙이며 10일이 지나서는 2일에 1번씩 갈아 붙인다.
주치병증 결핵(結核) 결핵이란 심한 화열(火熱)이 몰리고 맺혀서 딴딴해진 것인데 마치 과일의 씨와 같이 된 것이다(結核者火氣熱甚則鬱結堅硬如果中核也).
악창(惡瘡) (1) 창양(瘡瘍)으로 인한 농혈(膿血)이 부패하여 오래되어도 낫지 않는 병증. 구악창(久惡瘡), 악독창(惡毒瘡), 완창(頑瘡)이라고도 함. [유연자귀유방(劉涓子鬼遺方)]의 제5권에 두창(頭瘡), 악창(惡瘡), 골저(骨疽) 등에 쇠똥을 태워 그 연기를 쐬는 방법에 관한 기재가 있는데, 악창을 골저와 같이 묶어 다스리는 것으로 보아 잘 낫지 않는 온갖 외양을 일컫는다. [소아위생총미론방(小兒衛生總微論方)]에서는 "소아(小兒)가 전신의 접히는 부위에 악창(惡瘡)이 생기는 것은, 장부(臟腑)에 열(熱)이 있어 외부로 발(發)하는데 외부에서는 풍습(風濕)이 침범하니, 내사(內邪)와 외사(外邪)가 함께 뭉쳐서 기혈(氣血)과 서로 얽혀 그 경락(經絡)의 허(虛)한 곳을 따라가다 정체(停滯)되어 결취(結聚)되는 까닭에 생기니, 혹 크거나 혹은 작고, 혹 가렵거나 혹은 아프고, 혹 궤란(潰爛)되거나 혹은 창(瘡)이 생기고, 혹 농(膿)이 나오거나 혹은 혈(血)이 나오고, 혹 부패(腐敗)되기도 하며 독기(毒氣)와 겸한 것은 오래도록 낫지 않으니 모두 악창(惡瘡)에 속한다.(小兒有緣身生諸惡瘡者, 由臟腑有熱, 衝發於外, 外被風濕所乾, 內外相乘, 搏於氣血, 隨其經絡虛處, 停滯留結而生, 或大或小, 或痒或痛, 破爛成瘡, 或膿或血, 或腐或敗, 挾毒所作者, 久而不差, 皆曰惡瘡.)"라고 하였다. (2) 고름이 많이 들어 있고 심한 증세가 나타나는 온갖 종기.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35권에서 "여러 가지 창(瘡)이 몸에 생기는데, ……창이 가렵고 아프며, 후끈거리고, 부으면서 창에 고름이 많고, 몸에 장열(壯熱)이 나면 악창이라고 한다.(諸瘡生身體, …… 瘡癢痛焮腫而瘡多汁, 身體壯熱, 謂之惡瘡也.)"라고 하였다. (3) 악성 혹[腫瘤]을 말함. 근래에 나쁜 혹 덩어리를 악창이라고도 한다. (4) 나력(瘰癧)을 말함. 곽박파(郭璞把)의 [산해경(山海經)]에서는 역(癧; 연주창)을 악창이라고 하였다.양방병증 ; 화농, 곪음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내용 ; 옹저오발증(癰疽五發證), 악창(惡瘡), 나력(瘰癧), 결핵(結核), 유옹(乳癰)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조제용법 ; 곪지 않은데 붙이면 저절로 삭고 이미 곪은 데 붙이면 곧 터지고 궂은 살(惡肉)이 잘 없어지며 새살이 살아나는데 그 효과가 아주 좋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주치병증 나력(瘰癧)
서루(鼠瘻), 역자경(癧子頸), 경력(頸癧), 노서창(老鼠瘡) 작은 것이 나(瘰), 큰 것이 역(癧)임. 림프절에 멍울이 생긴 병증. 근심과 분노로 간화(肝火)가 막혀 담(痰)이 되어 경락에 머물렀다가 근육을 수축해 멍울이 됨. 목(頸項)과 귀 뒤, 자개미에 한두 개의 멍울이 생겨 구슬을 꿴 것처럼 이어지고, 처음에는 콩알만 하다가 점차 커져 복숭아씨 만해지고, 증한장열(憎寒壯熱), 인항강통(咽項强痛)이 있고, 누르면 움직임. 남자는 이마에 힘줄이 드러나고, 조열(潮熱)이 나고, 기침하고, 땀이 남. 부인은 눈에 핏발이 서고, 월경이 중단되고, 골증(骨蒸)과 오심번열(五心煩熱)이 있음. 양방병증 ; 경부임파선 결핵
악창(惡瘡)
(1) 창양(瘡瘍)으로 인한 농혈(膿血)이 부패하여 오래되어도 낫지 않는 병증. 구악창(久惡瘡), 악독창(惡毒瘡), 완창(頑瘡)이라고도 함. [유연자귀유방(劉涓子鬼遺方)]의 제5권에 두창(頭瘡), 악창(惡瘡), 골저(骨疽) 등에 쇠똥을 태워 그 연기를 쐬는 방법에 관한 기재가 있는데, 악창을 골저와 같이 묶어 다스리는 것으로 보아 잘 낫지 않는 온갖 외양을 일컫는다. [소아위생총미론방(小兒衛生總微論方)]에서는 "소아(小兒)가 전신의 접히는 부위에 악창(惡瘡)이 생기는 것은, 장부(臟腑)에 열(熱)이 있어 외부로 발(發)하는데 외부에서는 풍습(風濕)이 침범하니, 내사(內邪)와 외사(外邪)가 함께 뭉쳐서 기혈(氣血)과 서로 얽혀 그 경락(經絡)의 허(虛)한 곳을 따라가다 정체(停滯)되어 결취(結聚)되는 까닭에 생기니, 혹 크거나 혹은 작고, 혹 가렵거나 혹은 아프고, 혹 궤란(潰爛)되거나 혹은 창(瘡)이 생기고, 혹 농(膿)이 나오거나 혹은 혈(血)이 나오고, 혹 부패(腐敗)되기도 하며 독기(毒氣)와 겸한 것은 오래도록 낫지 않으니 모두 악창(惡瘡)에 속한다.(小兒有緣身生諸惡瘡者, 由臟腑有熱, 衝發於外, 外被風濕所乾, 內外相乘, 搏於氣血, 隨其經絡虛處, 停滯留結而生, 或大或小, 或痒或痛, 破爛成瘡, 或膿或血, 或腐或敗, 挾毒所作者, 久而不差, 皆曰惡瘡.)"라고 하였다. (2) 고름이 많이 들어 있고 심한 증세가 나타나는 온갖 종기.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35권에서 "여러 가지 창(瘡)이 몸에 생기는데, ……창이 가렵고 아프며, 후끈거리고, 부으면서 창에 고름이 많고, 몸에 장열(壯熱)이 나면 악창이라고 한다.(諸瘡生身體, …… 瘡癢痛焮腫而瘡多汁, 身體壯熱, 謂之惡瘡也.)"라고 하였다. (3) 악성 혹[腫瘤]을 말함. 근래에 나쁜 혹 덩어리를 악창이라고도 한다. (4) 나력(瘰癧)을 말함. 곽박파(郭璞把)의 [산해경(山海經)]에서는 역(癧; 연주창)을 악창이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화농, 곪음
오발옹저(五發癰疽) 오발(五發) 다섯 곳에 발생하는 옹저. 발뇌(發腦), 발빈(發鬢), 발미(發眉), 발이(發頤), 발배(發背) 등을 말함. 외감육음(外感六淫), 내상칠정(內傷七情), 식상(食傷), 외상(外傷) 등으로 열독(熱毒)이 몰려 생김. 옹저의 국소적 증상에 두통, 오심, 오한, 발열, 기천(氣喘), 경련 등이 따름.
유옹(乳癰) 유방에 생기는 옹(癰)을 말함. 간기(肝氣)가 울결되고 위(胃)에 열이 막혀 머무르거나 또는 젖이 뭉쳐 쌓이므로 생긴다. 처음에는 젖에 굳은 응어리가 맺히고, 탱탱하면서 아프며, 젖이 잘 나오지 않고, 온몸이 찬 기운을 싫어하면서 열이 나고, 잇따라 응어리가 부어 커지고, 후끈거리면서 빨갛고 몹시 아프며 오한발열(惡寒發熱)이 물러가지 않으면서 속에서 곪는다. 이명 ; 투유(妬乳), 유독(乳毒), 취니(吹嬭), 취유(吹乳), 내취(內吹), 외취(外吹), 유근옹(乳根癰), 유풍(乳瘋).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모고(雲母膏) (0) | 2016.01.07 |
---|---|
태을고(太乙膏) (0) | 2016.01.07 |
만응고(萬應膏) (0) | 2016.01.07 |
신이고(神異膏) (0) | 2016.01.07 |
묘승산(妙勝散)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