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응고(萬應膏) ♣
◈治一切瘡疽初發組腫或老瘡不差亦令收斂早合貼之神效(方見雜方)
◈여러 가지 헌데와 옹저의 초기에 화끈화끈 달면서 붓는 것을 치료하는데 혹 헌데가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도 치료한다. 병의 초기에 붙여야 아주 좋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정의(精義)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구(卷九) 잡방(雜方)
구성약재 관계(官桂): 18.75 g. 대황(大黃): 75 g. 목별자(木鼈子): 18.75 g. 당귀(當歸): 18.75 g. 백렴(白薟): 37.5 g. 백작약(白芍藥): 18.75 g. 몰약(沒藥): 18.75 g. 백급(白芨): 18.75 g. 생지황(生地黃): 18.75 g. 백지(白芷): 18.75 g. 향유(香薷): 900 g. 황금(黃芩): 75 g. 유향(乳香): 18.75 g. 황기(黃芪): 75 g. 황단(黃丹): 300 g. 행인(杏仁): 18.75 g. 황랍(黃蠟): 37.5 g. 현삼(玄蔘): 18.75 g. 황백(黃柏):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기름에 3일밤 동안 담가두었다가 약한 불에 달이는데 버들가지로 저으면서 백지가 누렇게 될 때까지 달여 무명천에 짜서 찌꺼기를 버린 다음 황단을 넣고 다시 졸인 다음에 유향, 몰약, 황랍을 넣고 녹여서 고루 섞는다. 이것을 그릇에 담아 땅 속에 7일 동안 묻어두었다가 천에 발라서 쓴다.
주치병증 구창(久瘡) 오래된 창증(瘡證) 양방병증 ; 만성종기증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을고(太乙膏) (0) | 2016.01.07 |
---|---|
영응고(靈應膏) (0) | 2016.01.07 |
신이고(神異膏) (0) | 2016.01.07 |
묘승산(妙勝散) (0) | 2016.01.07 |
홍보고(洪寶膏)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