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인탕(三仁湯) ♣
◈治腸癰腸中病痛縱非癰疑似間便可服薏苡仁三錢冬苽仁二錢半桃仁牧丹皮二錢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장옹으로 창자 속이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장옹이라고 확정할 수 없으나 의심되는 데도 쓸 수 있다. 율무쌀(의이인) 12g, 동아씨(동과자) 10g, 복숭아씨(도인),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一名薏苡湯《三因》 ◈ 일명 의이탕(薏苡湯) 이라고도 한다[삼의].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外集)-부인소아외과용약부(婦人小兒外科用藥賦)-위옹(胃癰)
내용 ; 장(腸)에 고름이 있는 것과 장(腸)에 아픈 통증이 있고 아직 고름이 응결되지 않은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도인(桃仁): 5.625 g. 동과인(冬瓜仁): 7.5 g. 목단피(牧丹皮): 5.625 g. 의이인(薏苡仁): 9.375 g.
조제용법 ; 물로 달여서 따뜻하게 복용한다(水煎 溫服)
주치병증 번민(煩悶) 마음속으로 안타까워 괴로워하는 것을 말함.[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제2권에 나옴. 양방병증 ; 가슴앓이
불식(不食) 식욕이 없고 심하면 전혀 마시거나 먹으려 하지 않는 병증. 양방병증 ; 식욕결핍반응
요삽(尿澁) 소변이 걸리는 듯하면서 잘 나오지 않는 것. 요색(尿濇)이라고도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3권에서 "만약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 요삽(尿澁)의 증으로 보고 오령산(五苓散)으로 치료한다.(若小便不利, 則爲尿澁之證, 五苓散利之.)"라고 하였다.
장옹(腸癰) 창자 속에 옹(癰)이 생기고 아울러 배가 아픈 병증. 음식을 먹을 때 절제를 하지 못하였거나, 벌컥 화를 내고 근심 걱정을 하거나, 넘어져 부딪치고 급하게 달리는 등으로 인하여 위장(胃腸)이 운화(運化)하는 데에 제 기능을 잃어 습열(濕熱)이 안에 막히므로 일어난다. [금궤요략(金匱要略)]에서 "장옹(腸癰)은 아랫배가 부어 막혀, 누르면 아프며 임병(淋病)과 같은 것으로, 소변은 잘 나오나 때때로 열이 나면서 저절로 땀이 흐르다가 다시 추위를 타는데, 그 맥(脈)이 지긴(遲緊)하면 곪지 않았으므로 건드려서 피를 내야 한다. 맥이 홍삭(洪數)하면 이미 곪은 것이므로, 건드려서는 안 된다. 대황목단피탕(大黃牧丹皮湯)을 주된 처방으로 쓴다.(腸癰者, 少腹腫痞, 按之卽痛, 如淋, 小便自調, 時時發熱, 自汗出, 復惡寒, 其脈遲緊者, 膿未成, 可下之 當有血, 脈洪數者, 膿巳成, 不可下也, 大黃牡丹皮湯主之)"라고 하였다.
장옹복통(腸癰腹痛) 장(腸)에 옹종(癰腫)이 생김으로써 발생하는 복통. [증인맥치(症因脈治)] <복통론(腹痛論)>에 "장옹복통(腸癰腹痛)의 증상은 다리를 오므리고 미간에 주름이 잡히며 소변이 찔끔찔끔 나오고, 부은 곳이 아파 손을 못 대게 하며 밤마다 오한하였다 발열하고 배꼽 주위에 부스럼이 생기거나 또는 뱃가죽이 팽팽하게 땅기며 피부가 각질처럼 되고 때때로 땀이 난다.(腸癰腹痛之症, 縮脚皺眉, 小便爲淋, 痛有腫處, 手不可按, 夜來每發寒熱, 或繞臍生瘡, 或腹皮緊急, 肌膚甲錯, 或時時出汗, 此腸癰腹痛之症也.)"라고 하였다. 이명 ; 복통(腹痛)
창만불식(脹滿不食) 배가 몹시 부르며 속이 그득하여 음식을 못먹는 병증 양방병증 ; 복부팽만
산후허열(産後虛熱) 산후(産後)에 열(熱)이 나는 것을 말함.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상(上)
내용 ; 장(腸)에 고름이 있는 것과 장(腸)에 아픈 통증이 있고 아직 고름이 응결되지 않은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도인(桃仁): 7.5 g. 목단피(牧丹皮): 7.5 g. 의이인(薏苡仁): 11.25 g. 동과자(冬瓜子): 9.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농혈(膿血) 피고름. [소문(素問)] <통평허실론(通評虛實論)>에 나옴. 피와 고름이 섞인 것을 말한다. 농혈은 주로 창양(瘡瘍)이 곪아 터진 다음에 볼 수 있다. 이명 ; 혈농(血膿) 양방병증 ; 농혈증
장옹(腸癰) 창자 속에 옹(癰)이 생기고 아울러 배가 아픈 병증. 음식을 먹을 때 절제를 하지 못하였거나, 벌컥 화를 내고 근심 걱정을 하거나, 넘어져 부딪치고 급하게 달리는 등으로 인하여 위장(胃腸)이 운화(運化)하는 데에 제 기능을 잃어 습열(濕熱)이 안에 막히므로 일어난다. [금궤요략(金匱要略)]에서 "장옹(腸癰)은 아랫배가 부어 막혀, 누르면 아프며 임병(淋病)과 같은 것으로, 소변은 잘 나오나 때때로 열이 나면서 저절로 땀이 흐르다가 다시 추위를 타는데, 그 맥(脈)이 지긴(遲緊)하면 곪지 않았으므로 건드려서 피를 내야 한다. 맥이 홍삭(洪數)하면 이미 곪은 것이므로, 건드려서는 안 된다. 대황목단피탕(大黃牧丹皮湯)을 주된 처방으로 쓴다.(腸癰者, 少腹腫痞, 按之卽痛, 如淋, 小便自調, 時時發熱, 自汗出, 復惡寒, 其脈遲緊者, 膿未成, 可下之 當有血, 脈洪數者, 膿巳成, 不可下也, 大黃牡丹皮湯主之)"라고 하였다.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장산(敗醬散) (0) | 2016.01.07 |
---|---|
목단산(牡丹散) (0) | 2016.01.07 |
대황목단탕(大黃牡丹湯) (0) | 2016.01.07 |
맥 보는 법[脈法]/옹저 (0) | 2016.01.07 |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