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육두구환(肉豆 丸)

한들 약초방 2016. 2. 14. 10:08

 

 육두구환(肉豆 )

 

 

治痘疹泄瀉赤石脂白礬枯各七錢半白龍骨肉豆埼氖訶子肉各五錢木香縮砂各三錢右爲末糊和丸黍米大溫米飮呑下一歲兒三十丸三歲兒百丸《綱目》

 

마마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적석지, 백반(구운 ) 각각 30g, 백용골,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 가자육 각각 20g, 목향, 사인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 어린이에게는 30, 3 어린이에게는 100알씩 따뜻한 미음으로 먹인다[강목].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진씨(陳氏) 

편명 ; 주집 고방팔진 열진(宙集 古方八陣 熱陣)

 

구성약재

가자육(訶子肉): 다른 약재의 절반 분량.

고백반(枯白礬): 28.25 g.

목향(木香): 7.5 g.

사인(砂仁): 7.5 g.

용골(龍骨): 다른 약재의 절반 분량.

육두구(肉豆蔲): 다른 약재의 절반 분량.

적석지(赤石脂): 28.25 g.

 

조제용법 ; 곱게 가루 내어 밀가루로 풀을 쑤어 소미대의 환을 만들어 2세인 아이는 30-50환, 3세인 아이는 100환 씩 따뜻한 미음으로 복용한다(右爲細末 麵糊爲丸 黍米大 周歲兒每服三五十丸 三歲兒服百丸 溫米飮下)

 

주치병증

설사(泄瀉)

대변이 묽고 횟수가 많은 병증. [삼인극일병증방론(三因極一病證方論)] 제11권에 나옴. 약칭하여 설(泄) 또는 사(瀉)라고 함. 대변이 묽어 심지어는 물 같으며 대변을 보는 횟수가 많되 일반적으로 피고름이 섞여 나오거나 대변이 막 쏟아질 것 같은데 뒤가 무거운 증상은 없다. 설과 사를 구분한다면 대변이 묽으면서 나오는 기세가 완만한 것이 설이고, 대변이 물 같으면서 왈칵 쏟아지는 것이 사이다. [기효양방(奇效良方)] <설사문(泄瀉門)>에서 "설(泄)은 누설(漏泄)된다는 뜻으로 때때로 묽은 변이 나오되 나오다가 멎었다가 한다. 사(瀉)는 단번에 쏟아붓듯이 물 같은 변이 나오는 것이다.(泄者, 泄漏之義, 時時溏泄, 或作或愈; 瀉者, 一時水去如注泄.)"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설사

 

장활(腸滑)

대변이 참을 수 없이 자주 나오는 것을 말함.

 

이질(痢疾)

곱똥질. [내경(內經)]에서는 장벽(腸澼)이라 하였고, [상한론(傷寒論)]에서는 하리(下利), 열리(熱利)라고 하였으며,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에서는 하리(下痢)라 하였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에서는 이병(痢病)이라 하였으며, [천금요방(千金要方)]에서는 체하(滯下)라 하였고, 후세에는 대부분 이질(痢疾)이라 하였다. 이 병은 배가 아프고 대변을 자주 보되 양이 적고, 속이 땅기며 뒤가 무겁고, 끈적끈적하거나 심지어 피고름 같은 대변을 보는 것이 특징이다. 대개 육음(六淫) 및 역독(疫毒)을 감수하거나 칠정(七情)이나 과로나 음식(飮食)을 삼가지 않아 장(腸)에 쌓이고 얹혀 전도기능(傳導機能)에 이상이 생김으로써 발생한다. 허(虛)와 실(實)을 분별해야 한다. 실증(實證)은 청열화습(淸熱化濕), 양혈해독(凉血解毒), 소적도체(消積導涕) 등의 치료법을 쓴다. 허증(虛證)은 온양고삽(溫陽固澁) 등의 치료법을 쓴다. 사(邪)가 성(盛)하고 정기(正氣)가 허한 경우는 정기(正氣)를 부축하면서 사를 없애야 한다. 또한 혈(血)을 돌리면서 기(氣)를 고르게 하는 치법을 겸할 수도 있으니 옛 설(說) 중에 혈을 돌리면 이질이 저절로 낫고, 기를 고르게 하면 뒤가 무거운 증세는 저절로 없어진다는 말이 있다. 이질은 병인(病因)에 따라 풍리(風痢), 사리(痧痢), 서리(暑痢), 습열리(濕熱痢), 한리(寒痢), 열리(熱痢), 역리(疫痢), 독리(毒痢), 기리(氣痢)로 나뉘고, 대변의 성질과 모양에 따라 적리(赤痢), 백리(白痢), 혈리(血痢), 적백리(赤白痢), 농혈리(膿血痢), 오색리(五色痢) 등으로 나뉘며, 병정(病情)의 경중(輕重)과 병정(病程)에 따라서는 금구리(噤口痢), 휴식리(休息痢), 기항리(奇恒痢), 구리(久痢), 허리(虛痢) 등이 있다. 이 병은 세균성 이질, 아메바성 이질, 궤양성 결장염(結腸炎), 과민성 결장염(結腸炎), 음식물 중독 및 장흡수기능장애성질병(腸吸收機能障碍性疾病) 등에서 늘 나타난다.

이명 ; 장벽(腸澼), 하리(下利), 열리(熱利), 이병(痢病), 체하(滯下)

양방병증 ; 이질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천(痰喘)/소아   (0) 2016.02.14
고진탕(固眞湯)   (0) 2016.02.14
목향산(木香散)   (0) 2016.02.14
이공산(異功散)   (0) 2016.02.14
설사(泄瀉)   (0) 2016.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