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사단( 邪丹) ♣
治衝惡邪杜怪疾及山谷間九尾狐精爲患人參赤茯神遠志鬼箭羽石菖蒲白朮蒼朮當歸各一兩桃奴五錢雄黃朱砂各三錢牛黃麝香各一錢右爲末酒糊和丸龍眼大金箔爲衣每一丸臨臥以木香湯化下諸邪不敢近體更以絳囊盛五七丸懸床璥中尤妙《入門》
◈나쁜 기운에 감촉되어 생긴 사수(邪 )와 괴질(怪疾), 깊은 산골짜기의 구미호의 정으로 생긴 병을 치료한다.
인삼, 적복신, 원지, 화살나무껍질(귀전우), 석창포, 흰삽주(백출), 삽주(창출), 당귀 각각 40g, 도노 20g, 석웅황(웅황), 주사 각각 12g, 우황, 사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풀에 반죽하여 용안씨만하게 알약을 만든 다음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1알씩 잠잘 무렵에 목향을 달인 물로 먹으면 모든 사기가 몸 가까이 오지 못한다. 그리고 5∼7알을 비단주머니에 넣어서 방 가운데 달아 매어두면 더 좋다[입문].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편명 ; 권지육십삼 장집 두진전고방 두진(卷之六十三 長集 痘疹詮古方 痘疹)
구성약재
감송(甘松):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강진향(降眞香):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구엽운향초(韭葉芸香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유향(乳香):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북세신(北細辛):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가루 내어 물로 콩 크기의 환을 만들어서 매번 1환을 태워서 훈증하고 오래되면 1환을 또 태운다. 너무 많이 태워선 안 되고 단지 약간 냄새가 날 정도로 계속 태운다(右爲末, 水丸, 如豆大, 每焚一丸薰之, 良久又焚一丸, 不可太多, 只是略有香氣, 使之不斷可也).
주치병증
두진(痘疹)
(1) 두창(痘瘡), 수두(水痘) 때 피부에 돋는 구슬 진(疹). (2) 두창이나 마진(麻疹)이 포함된 발진성 질병.
양방병증 ; 종기증
한사(寒邪)
육음(六淫)의 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