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 어 |
하편, 용 어 해 설 |
하기(下氣) |
위로 솟구치는 화기(火氣)를 가라앉히는 효능. |
하기거담(下氣祛痰) |
하기소담(下氣消痰). 위로 솟구치는 화기(火氣)를 내려(下) 담을 삭임(祛痰). |
하기관중(下氣寬中) |
기운을 아래로 내려 중초(中焦)를 편안하게 하는 효능, |
하기정천(下氣定喘) |
기운을 아래로 내려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능. |
하리복통(下痢腹痛) |
심한 설사(泄瀉)로 인한 복통(腹痛). |
하분(煆粉) |
약재 가루(粉)를 물에 넣어 따뜻하게 데움(煆). |
하소(下消) |
소갈증(消渴症)의 하나, 몸이 야위고 입이 마르며 얼굴빛이 까맣게 되며 오줌이 많고 뿌연증세를 보임. |
하원허냉(下元虛冷) |
하초(下焦)가 허(虛)하고 참(冷). |
하유(下乳) |
산모의 젖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 |
하초습열(下焦濕熱) |
허리 밑 부분의 습기(濕氣)와 열기(熱氣). |
하초허약(下焦虛弱) |
신체하부(身體下部)가 허약함. |
하행(下行) |
약성(藥性)이 아래쪽(身體下部)으로 내려가 허리 이하 아픈 곳을 치료하는 효능. |
학질(瘧疾) |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모기에 의해 전파되고 잠복기간은 2주-수개월이며 발병 후 감염증상이 순차적으로 나타남.
☞ 한 두시간 동안 오한(惡寒), 두통(頭痛), 구역(嘔逆)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오한기(惡寒期)가 먼저 오고 피부가 따뜻하고 건조해지고 빈맥, 빈호흡 등을 보이는 발열기(發熱期)가 3-6시간 이상 지속된 후 땀을 흘리는 발한기(發汗期)로 이어짐.
☞ 발열(發熱) 이외에도 빈혈(貧血), 두통(頭痛), 혈소판 감소(血小板 減少), 비장(脾臟)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등의 증세도 보임. 빈혈(貧血)은 적혈구가 파괴 되면서 발생하고 파괴된 적혈구와 헤모글로빈이 비장(脾臟)에 침착되면서 비장(脾臟)이 커지며, 혈소판 감소증(血小板 減少症)은 항혈소판 항체(抗血小板 抗體)가 형성되어 생김. |
학질한열(瘧疾寒熱) |
학질(瘧疾)로 인한 오한(惡寒)과 발열(發熱). |
한궐(寒厥) |
양기(陽氣)가 쇠(衰)하고 음기(陰氣)가 성(盛)하여 팔다리가 차가워지는 병증. 일명 냉궐(冷厥),음궐(陰厥)이라 함. 팔다리와 몸이 차가워지며 얼굴이 푸르고 웅크리고 자며, 손톱이 검푸른 색을 띠고 배가 아프며, 대변이 묽고, 생똥을 싸며, 소변이 저절로 나오고, 목이 마르지 않으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함. |
한담(寒痰) |
냉담(冷痰). 한사(寒邪)로 천해(喘咳), 객담(喀痰)하는 것 위경한담(胃經寒痰)이라고도 함.
☞ 신비(脾腎)의 양기(陽氣)가 허(虛)한 데에 습(濕)이 위경(胃經)에 있어서 생기며 맥(脈)이 침(沈)하고 얼굴이 검어지고 소변(小便)이 급하고 아프며 발끝에서부터 차가워지고 마음에 공포가 많고 담(痰)은 흰데 간혹 흑점이 있음.
☞ 평소 담질(痰疾)이 있는 데에 한사(寒邪)를 외감(外感)하여 담(痰)과 상박(相搏)함으로써 생기며 사지불거(四肢不擧), 기결자통(氣結刺痛), 골비청냉(骨痺淸冷) 등의 증상이 생김. |
한담해수(寒痰咳嗽) |
한사(寒邪)의 침입을 받아 몸이 냉(冷)해져 기침을 심하게 하면서 묽은 가래가 나옴. |
한‧량한 약(寒‧凉한 藥) |
성질(性質)이 차고(寒) 서늘한(凉) 약(藥). |
한산(寒疝) |
음낭(陰囊)이 차고 아픈 증(症).
☞ 습지에 오래 앉아 있거나 누워 있었거나, 추운 날씨에 물을 건넜거나 바람이 불고 눈이 올 때 다니거나 또는 성교(性交)로 인해 일어남. 음낭(陰囊)이 차고 돌처럼 딴딴하며 음경(陰莖)이 발기되지 않거나 고환이 켕기면서 아픔. 또 아랫배까지 아프고 한쪽 고환이 오그라 듬.
☞ 한냉(寒冷)을 만났거나 생냉물(生冷物)을 먹고 뱃속이 구련(拘攣)하고 배꼽의 주위가 아픈 것. 한사(寒邪)가 배 안에서 응결(凝結)해서 일어남. 배꼽주위가 아파 에워싸고 자한(自汗)하고 수족궐냉(手足厥冷)함. |
한열(寒熱) |
오한(惡寒)과 발열(發熱)증상. 한증(寒症)과 열증(熱症). 음양(陰陽)이 성(盛)하거나 약(弱)해져 생김. 양(陽)이 이기면 열(熱)이 나고, 음(陰)이 이기면 한(寒)이 생겨 음양성쇠(陰陽盛衰)가 구체적으로 나타남. 한의학에서는 한(寒)과 열(熱)은 상대적이고 상호간 관련되어 있다고 봄. |
한열사기(寒熱邪気) |
모든 한기(寒氣), 열기(熱氣)와 나쁜 기운(氣運). |
한열왕래(寒熱往來) |
몸이 추웠다 더웠다 함. |
한열통(寒熱痛) |
한증(寒症)과 열증(熱症)으로 통증(痛症)이 있는 것. |
한응기체(寒凝氣滯) |
몸에 한기(寒氣)가 응결(凝結)되어 기(氣) 흐름이 막힘(滯). |
한출(汗出) |
땀(汗)을 나게(出) 함. |
항강(項强) |
목덜미가 뻣뻣해 옆으로 돌리지 못하는 증세. 대개는 풍한습사(風寒濕邪)가 태양경(太陽經)에 침입하거나 혹은 피부(皮膚)나 근육(筋肉)의 손상, 병사외습(病邪外襲), 실혈(失血), 대한(大寒), 고열(高熱), 한열왕래(寒熱往來) 등에 의해 진액(津液)이 소모되고 근맥(筋脈)을 자양(滋養) 하지 못해 일어남. |
항배강수수(項背强수수) |
목덜미와 등이 뻣뻣해서 목을 움츠리는 자세를 취하는 증상임. |
항배부(項背部) |
목(項)과 등(背)을 아울러 이르는 말. |
항어외사(抗御外邪) |
외사(外邪)로부터 인체를 지키고 저항하는 효능. |
항(抗)히스타민(Histamine) |
신체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염증(炎症), 알레르기가 있을 때 신체조직(身體組織)에 분비되는 유기물질(有機物質). |
항심근결기혈(抗心筋缺氣血) |
심장근육(心臟筋肉)을 튼튼히 하고, 흩어진 기혈(氣血)을 바로잡음. |
해기(解肌) |
기표(肌表)의 사기(邪氣)를 제거하여 외감증(外感症) 초기에 발한(發汗)시켜 치료하는 방법. |
해기청열(解肌淸熱) |
살갗(肌-땀구멍)을 열어 열(熱)을 식힘. |
해독염창(解毒斂瘡) |
독성(毒性)을 없애주고 악창(惡瘡)이 곪은 것을 수렴(收斂)시켜 새살이 돋게 하는 효능. |
해독요창(解毒療瘡) |
독성(毒性)을 없애주고 악창(惡瘡)을 치료하는 효능. |
해독산결(解毒散結) |
독성(毒性)을 없애주고 뭉친 것을 풀어주는 효능. |
해독산종(解毒散腫) |
독성(毒性)을 없애주고 종창(腫脹)을 식히는 효능. |
해독생기(解毒生肌) |
독성(毒性)을 없애주고 새 살이 돋게 하는 효능. |
해독소종(解毒消腫) |
해독(解毒)하여 종기(腫氣)를 가라앉힘(消). |
해서치학(解暑治瘧) |
더위 먹은 것을 풀어주고 학질(瘧疾)을 치료하는 효능. |
해수(咳嗽) |
소리만 있고 가래가 없는 것을 ‘해(咳)’라 하고, 가래만 있고 소리가 없는 것을 ‘수(嗽)’라 함.따라서 해수(咳嗽)란 소리와 가래가 모두 있는 것임. |
해수담다(咳嗽痰多) |
해수(咳嗽)에 가래(痰)가 많이(多) 섞여 나옴. |
해수상기(咳嗽上氣) |
폐기(肺氣)가 거슬러 올라와 호흡(呼吸)이 촉박하고 기침이 나는 증세. |
해수일구(咳嗽日久) |
해수(咳嗽)가 있은 지 오래(久)됨. |
해수해혈(咳嗽咳血) |
기침에 가래(痰)와 피(血)가 섞여 나오는 병증. |
해어성독(海魚腥毒) |
물고기로 먹고 생긴 독(毒)을 푸는 효능. |
해역상기(咳逆上氣) |
해천(咳喘). 기침과 기천(氣喘)이 함께 나타나는 병증.
☞ 답답하고 숨이 끊어질 듯함.
☞ 실증(實症)은 6음(六淫)의 외감(外感) 또는 담음정체(痰飮停滯)로 생기는데 가슴이 그득하고 호흡이 빠르며 목이 쉬어 말을 못하고 바로 눕지 못하고 걸쭉한 가래를 뱉고 맥은 부(浮), 활(滑)함.
☞ 허증(虛症)은 오랜 병으로 원기(元氣)가 허(虛)하거나 또는 폐기(肺氣)가 옹체(壅滯)해서 비(脾)의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실조(失調)되고 신(腎)의 납기(納氣)가 잘 되지 않아서 일어나며, 얼굴이 붓고 맥은 부(浮), 대(大)하고 무력(無力)함. |
해역증(解疫症) |
온몸에 권대감(倦怠感)이 심하여 노곤하고 움직이기 싫어하며 다리가 풀리고 몸이 여위며 말하기도 싫어하는 증상. |
해열생진(解熱生津) |
열(熱)을 내리고 진액(津液)을 만듬. |
해열약(解熱藥) |
몸의 열(熱)을 내리는 약.
☞ 약성이 대체로 차고(寒) 쓴맛(苦)을 가져 열(熱)을 내리고 독(毒)을 풀어줌. 성질이 차므로 잘못 사용하면 소화기(消化器)에 이상이 생기며 설사(泄瀉)를 유발할 수 있음.
☞ 약재로는 노근(蘆根), 녹두(綠豆), 마치현(馬齒莧), 목단피(牧丹皮), 백두옹(白頭翁),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산자고(山慈姑), 삼백초(三白草), 서과(西瓜), 야국화(野菊花), 와송(瓦松), 용담(龍膽), 자화지정(雌花地丁),죽엽(竹葉), 치자(梔子), 포공영(蒲公英), 하고초(夏枯草), 현삼(玄蔘), 황금(黃芩), 황련(黃連), 황백(黃柏) 등임. |
해울(解鬱) |
가슴속의 답답한 증세(鬱)를 풀어줌(解). |
해천(咳喘) |
해역상기(咳逆上氣). |
해천객혈(咳喘喀血) |
해수(咳嗽)와 천식(喘息)을 하면서 객혈(喀血)함. |
해타(咳唾) |
기침(咳)을 하거나 침(唾)을 뱉음. |
해표(解表) |
외사(外邪)를 풀어헤쳐(解) 표증(表症)을 제거함. 외사는 보통 피부로부터 침입하는데 오한(惡寒),발열(發熱), 두통(頭痛), 전신통(全身痛) 등의 표증(表症)이 나타나고, 땀은 날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음. |
해표약(解表藥) |
피부에 침입한 병균을 제거하고 피부의 표증(表症)을 치료하는 약으로 땀을 나게 하는 효능과 해수(咳嗽)‧천식(喘息)을 삭이고 이뇨(利尿), 소염(消炎), 피부발진(皮膚發疹), 통증(痛症)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함. 그러나 땀을 지나치게 많이 흘리면 인체의 진액(津液)을 고갈시켜 저항력(抵抗力)이 떨어짐에 유의 해야 함. 약재로는 갈근(葛根), 강활(羌活), 마황(麻黃), 방풍(防風), 승마(升麻), 소엽(蘇葉), 시호(柴胡), 신이(辛夷), 형개(荊芥) 등임. |
해표이기(解表理氣) |
표증(表症)을 풀어주고 기(氣)를 늘리고 보완하는 효능. |
해표지통(解表止痛) |
표부(表部)를 풀어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 |
해혈(咳血) |
기침(咳)할 때 가래에 피(血)가 섞여 나옴. |
행기(行氣) |
기(氣)를 운행(運行)시킴. |
행기관중(行氣寬中) |
기(氣)를 소통시켜 중초(中焦)를 뚫어주는 효능. |
행기도체(行氣導滯) |
기(氣)를 소통시켜 체(滯)한 것을 통하게 하는 효능. |
행기산결(行氣散結) |
기(氣)를 소통시켜 뭉친 것을 풀어주는 효능. |
행기소창(行氣消脹) |
기(氣)를 소통시켜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효능. |
행기소적(行氣消積) |
기(氣)를 소통시켜 적취(積聚)를 없애는 효능. |
행기안태(行氣安胎) |
기(氣)를 소통시켜 태(胎)를 안정시키는 효능. |
행기온중(行氣溫中) |
기(氣)를 소통시켜 비위(脾胃)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 |
행기이비(行氣利脾) |
기(氣)를 소통시켜 비장(脾臟)을 도우는 효능. |
행기조습(行氣燥濕) |
기(氣)를 소통시켜 습(濕)을 말리는 효능. |
행기지통(行氣止痛) |
기(氣)를 소통시켜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 |
행기파어(行氣破瘀) |
기(氣)를 소통시켜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효능. |
행기해울(行氣解鬱) |
기(氣)를 소통시켜 울체(鬱滯)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 |
행기활혈(行氣活血) |
기(氣)를 소통시켜 혈(血)을 잘 돌게 하는 효능. |
행비(行痺) |
비증(痺症)의 하나. 허사(虛邪)와 혈기(血氣)가 서로 뭉쳐 일어남.
☞ 습기(濕氣)가 신(腎)을 상(傷)하게 하면 신(腎)이 간(肝)을 불생(不生)하므로 간풍(肝風)이 생겨 풍습(風濕)이 사지(四肢)에 유주(流注)하여 관절(關節)이 상하로 떠다니며 통증(痛症)이 유발됨. 혹은 벌겋게 붓기도 하고 근맥(筋脈)이 이완(弛緩)되어 수축(收縮)되지 않음. 또 왼손가락으로 들어가 아프기도 하고, 열손가락이 차례로 아프다가 붓기도 함.
☞ 습열(濕熱)이 뭉치고 풍열(風熱)이 막히면 몸이 침중하고 주주동통(走注疼痛)이 있기도 함. 심신(心身)이 혼권(昏倦)하고 음식 맛이 없고 가래침이 끈끈하고 밤에 목에서 가래가 그렁거리고 입에서 멀건 침이흐르기도 함. |
행수(行水) |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疏通)‧조절(調節)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 |
행수산습(行水散濕) |
수기(水氣)를 소통시켜 습사(濕邪)를 날려주는 효능. |
행수소종(行水消腫) |
수기(水氣)를 소통시켜 종기(腫氣)를 낫게 하는 효능. |
행수청열(行水淸熱) |
수기(水氣)를 소통시켜 열(熱)을 내리는 효능. |
행혈(行血) |
치법(治法)의 하나. 혈액순환(血液循環)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주로 어혈증(瘀血症)에 적용함. |
행혈거어(行血祛瘀) |
혈(血)을 소통시켜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 |
행혈보혈(行血補血) |
혈(血)을 소통시켜 주고 아울러 보(補)해주는 효능. |
행혈소종(行血消腫) |
혈(血)을 소통시켜 몸이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효능. |
행혈진통(行血鎭痛) |
피의 흐름(行血)을 좋게 하여 통증(痛症)을 진정(鎭靜)시킴. |
허결(虛結) |
몸이 허약(虛弱)해져 변비(便秘)가 생김. |
허계(虛悸) |
몸이 허약(虛弱)해져 가슴이 두근(悸)거리는 것. 또한 땀을 몹시 낸 뒤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기허심계 氣虛心悸, 혈허심계 血虛心悸 등) |
허담(虛痰) |
한담‧냉담(寒痰‧冷痰). 담증(痰症)의 하나. 비(脾)와 신(腎)의 양기(陽氣)가 부족하여 한습(寒濕)이 엉켜서 생긴 담증(痰症). |
허로(虛勞) |
허손노상(虛損勞傷)의 약칭. 정기(精氣)와 기혈(氣血)이 허손(虛損)된 병증(病症).선천적 기혈부족(先天的 氣血不足), 외상(外傷), 주색(酒色), 칠정내상(七情內傷), 음식(飮食), 노권(勞倦), 기욕무절(嗜欲無節)로 생김. 한방(韓方)에서는 기허(氣虛), 혈허(血虛), 양허(陽虛), 음허(陰虛)로 구분함.
☞ 술(酒)로 폐(肺)를 손상시켜 습열(濕熱)이 쌓여 폐음(肺陰)이 더워지고, 색(色)은 신(腎)을 손상시켜 정실(精室)이 비어 상화(相火)가 제어되지 않음.
☞ 사려(思慮)는 심(心)을 손상시켜 혈(血)이 모손(耗損)되어 쉽게 상염(上炎)함.
☞ 노권(勞倦)은 비(脾)를 손상시켜 열(熱)이 생겨 진음(眞陰)을 없앰
☞ 분노(憤怒)는 간(肝)을 손상시켜 간화(肝火)가 치밀어 올라 혈(血)이 뜨거워지므로 크게 노(怒)하면 토혈(吐血)하게 됨.
☞ 입맛이 없고 우울(憂鬱)하고 유정(遺精)과 몽설(夢泄)이 있고 허리, 등, 옆구리와 근육, 뼈가 아프고 조열(燥熱)이 나고 자한(自汗)과 도한(盜汗)이 있고, 기침하며 가래가 나옴. |
허로요통(虛勞腰痛) |
몹시 힘든 일로 신(腎)이 상했거나 신기부족(腎氣不足)으로 기화작용(氣化作用)이 장애되어 생기는 요통(腰痛). |
허로토혈(虛勞吐血) |
중초(中焦)의 기(氣)가 부족한 때 사열(邪熱)이 위(胃)를 자극하여 생기는 토혈(吐血). |
허롱(虛聾) |
이롱(耳聾)의 하나. 오랜 기간에 걸쳐 설사(泄瀉)를 하거나 또는 중병(重病)을 앓아 허약해졌을 때 풍사(風邪)가 귀에 침입하여 생긴 난청(難聽). |
허리기약(虛痢氣弱) |
기혈(氣血)이 허(虛)하여 나타나는 이질(痢疾). |
허만(虛滿) |
비만(肥滿)의 하나. 가슴과 배가 그득한 감이 있는 증세. |
허맥(虛脈) |
맥상(脈狀)의 하나. 가볍게 짚으면 힘이 없이 뛰고 세게 눌러 짚으면 속이 빈 것 같은 감을 주는 맥(脈). |
허번(虛煩) |
음(陰)이 허(虛)하고 속에 열(熱)이 있어 가슴이 답답하고 안타까워하며 불안해서 편안히 잠자지 못하는 증세. 또는 상한(傷寒)과 같으면서 오한(惡寒)은 없고 몸도 머리도 아프지 않으며 열(熱)만 나는 병증. |
허복만(虛腹滿) |
헛배 부름. |
허비(虛肥) |
음식조절을 못하고 지나친 정신‧육체적 피로로 비(脾)‧위(胃)‧심(心)‧신(腎)이 허약하고 음양기혈(陰陽氣血)이 부족하여 생기는 비만(肥滿). |
허사적풍(虛邪賊風) |
몸이 허(虛)할 때 침입하여 병을 일으키는 풍사(風邪). |
허설(虛泄) |
몸이 허약하거나 비신(脾腎)의 양기(陽氣)가 허(虛)하여 생기는 설사. |
허손(虛損) |
칠정노상(七情勞傷).
☞ 음식이나 주색내상(酒色內傷), 또는 병후 조섭부조(調攝不調)로 음양(陰陽), 기혈(氣血), 장부(臟腑)가 손상 되어 생김.
☞ 기허(氣虛)는 폐위(肺胃)의 허손이 많으며 사지무력(四肢無力), 말하기 싫고 움직이면 호흡촉박(呼吸促迫),자한(自汗), 심번(心煩)이 있음.
☞ 혈허(血虛)는 심간(心肝)의 허손이 많으며 토혈(吐血), 변혈(便血), 붕루(崩漏), 두훈안화(頭暈眼花) 등이 나타나고 건혈노(乾血勞)가 되기도 함.
☞ 양허(陽虛)는 비위(脾胃)의 허손이 많으며 식사량이 줄고 대변이 묽고 소화가 안되고, 요슬무력(腰膝無力),정신피로(精神疲勞), 증한(蒸汗), 양위(陽痿), 정설(精泄), 소변청장(小便淸長), 면색창백(面色蒼白), 설담(舌淡), 설태백(舌苔白), 맥(脈)은 침지(沈遲)함.
☞ 음허(陰虛)는 폐신(肺腎)의 허손이 많으며 폐음허(肺陰虛)면 마른기침, 객혈(喀血), 구건인조(口乾咽燥),조열(燥熱), 도한(盜汗), 설강(舌强), 맥(脈)은 세(細), 삭(數)함. 신음허손(腎陰虛損)이면 요슬무력(腰膝無力),동통(疼痛), 두훈(頭暈), 이명(耳鳴), 유정(遺精), 조설(早泄), 인후동통(咽喉疼痛), 설강(舌强), 맥(脈)은 침(沈),세(細), 삭(數)함. |
허손비뉵(虛損鼻衄) |
장부(腸部)의 허손(虛損)으로 생기는 코피. |
허아후(虛啞喉) |
목안에 붉은 반점이 생기면서 목이 쉬는 증상. |
허약혈붕(虛弱血崩) |
기혈(氣血)이 허약해져 충‧임맥(衝‧任脈)의 기능이 약해 지면서 생기는 여성성기(女性性器)의 출혈(出血). |
허양상부(虛陽上浮) |
정혈(精血)이 부족하여 양기(陽氣)가 위로 떠오르는 증세. |
허열(虛熱) |
몸이 허(虛)해서 나는 열(熱). 음양기혈(陰陽氣血)이 부족해서 생김. |
허열소갈(虛熱消渴) |
허열(虛熱)로 생기는 갈증(渴症)을 물리침. |
허좌조책(虛坐勞責) |
대변(大便)을 자주 보고 싶어 변소에 가서 힘을 주나 대변(大便)은 조금 밖에 나오지 않는 증세. |
허증(虛症) |
인체(人體)의 정기(精氣)가 부족(不足)하고 저항능력(抵抗能力)이 약해지며 생리기능(生理機能)이감퇴(減退)된 증세. 병독(病毒)이 아직 사라지지 않고 기력결핍(氣力缺乏), 신체허약(身體虛弱)으로 치유능력(治癒能力)이 떨어지는 병증(病症)을 말하며, 한의학상의 임상표현(臨床表現)은 면색창백(面色蒼白), 정신부족(精神不足), 신피핍력(神疲乏力), 심계기단(心悸氣短), 자한도한(自汗盜汗), 설담태백(舌淡苔白), 맥허무력미약(脈虛無力微弱) 등이며 보약(補藥)이 필요한 경우임. |
허증협실(虛症挾實) |
정기(精氣)가 부족한 허증(虛症)일 때 사기(邪氣)가 왕성한 실증증상(實證症狀)이 같이 나타나는 현상. |
허창(虛脹) |
비신(脾腎)의 양기(陽氣)가 허(虛)하거나 또는 간신(肝腎)의 음기(陰氣)가 허(虛)하여 생기는 창만(脹滿). |
허천(虛喘) |
정기(精氣)가 허(虛)하여 발생하는 기천(氣喘).
☞ 오랜 천증(喘症) 또는 큰 병으로 진원(眞元)이 모손(耗損)되어 장기(臟器)가 허쇠(虛衰)하고 폐(肺)나 신(腎)이 허(虛)하여 발생함
☞ 일반적으로 병은 비교적 늦게 발생하나 기간은 길고 호흡이 가쁘며 말소리가 적고 심호흡을 해야만 상쾌 하고 움직이면 숨이 가쁘고 빨라짐. |
허풍(虛風) |
풍‧한‧습(風‧寒‧濕)으로 가려운 증세. |
허한(虛寒) |
정기(精氣)가 허(虛)해 속이 찬(冷) 증후(症候)가 나타나는 것.
☞ 얼굴에 화색(和色)이 없고 식욕(食慾)이 없으며 소화(消化)가 잘 되지 않고 헛배가 부르고 멀건 침을 뱉고,추위를 타며, 대변(大便)이 묽어 설사(泄瀉) 기운이 있고 혀의 색이 엷고 설태(舌苔)는 희며, 맥(脈)은 침(沈-깊고), 지(遲-더디고), 완(緩-느리고), 약(弱)함.
☞ 여성은 묽은 대하(帶下)가 나오고 아랫배에 둔(鈍)한 통증(痛症)이 있음.
☞ 따뜻하면 증상(症狀)이 완화(緩和)됨. |
허한구사(虛寒久瀉) |
몸이 허(虛)하고 한(寒)하여 고벽(痼癖)이 된 설사병. |
허해(虛咳) |
몸이 허약(虛弱)하여 마른기침(咳)을 함. |
허화(虛火) |
진음(眞陰)이 부족하여 생기는 화(火). |
허화상염(虛火上炎) |
신음(腎陰) 부족으로 몸의 열기(熱氣)가 위로 떠오르는 것. |
허화아통(虛火牙痛) |
신허(腎虛)로 인한 치통(齒痛). |
허화천급(虛火喘急) |
본래 체질이 허약하거나 오랜 병으로 신음(腎陰)이 상하여 허화(虛火)가 치밀어서 생기는 숨이 차고 가픈 병증. |
허화후비(虛火喉痺) |
음허후비(陰虛喉痺). 폐신음허(肺腎陰虛)로 허화(虛火)가 올라가 생기는 후비(喉痺). |
허훈(虛暈) |
내상으로 기혈(氣血)이 부족하여 생기는 현훈(眩暈) 또는 옹저(癰疽), 궤양(潰瘍), 창양(瘡瘍) 등 피부가 헐어서 상한 자리. |
현벽(痃癖) |
적취(積聚)의 하나. 배꼽 양쪽 옆이나 옆구리에 막대기 또는 덩어리 모양으로 뭉쳐진 것이 만져지며 가끔 통증(痛症)이 있는 병. |
현음(懸飮) |
사음(四飮)의 하나. 음사(飮邪)가 흉협(胸脇)에 정류(停留)하는 병. 증상은 협하창만(脇下脹滿)하고 해타(咳唾)하면 통증(痛症)이 더하고 전측(轉側)과 호흡(呼吸)을 할 때 견인통(牽引痛)이 있고 건구(乾嘔),맥침현(脈沈弦) 등이 따름. 중증(重症)일 때는 해수(咳嗽)가 심하고 흉협비통(胸脇痞痛)하고 쇄골상와(鎖骨上窩) 에 까지 당기고 건구(乾嘔), 단기(短氣), 두통(頭痛) 등이 따름. 습성늑막염(濕性肋膜炎-‘늑막염’ 참조)에 해당됨. |
현휘안흑(絢彙眼黑) |
눈앞에 별이 오락가락 하고 나비나 곤충 같은 것이 날아 다니는듯하다가 눈앞이 캄캄 해지는 등 머리가 어지럽고 정신이 없음. |
현훈(眩暈) |
현(眩)은 안목(眼目)이 혼현(昏眩)함을 말하고 훈(暈)은 두뇌의 훈전(暈轉)을 뜻함. 즉, 눈앞이 흐릿하고 잘 보이지 않으며 머리가 어지럽고 어찔어찔한 증상. 원인은 외사(外邪), 칠정(七情), 신허(腎虛), 혈허(血虛)로 생기며, 두훈(頭暈)으로 인해 안혼(眼昏)이 되는 것은 전현(轉眩)이라 하고 안혼(眼昏)으로 인해 두훈(頭暈)이 생기는 것은 목현(目眩)이라 함. 머리가 어지럽고 무거우며 눈이 흐려지는 것을 현모(眩冒)라 함. |
혈결적괴(血結積塊) |
피가 뭉쳐 덩어리가 생긴 것. |
혈관신경성 괴저(血管神經性 壞疽) |
☞ 말초(末梢) 혈액순환장애(血液循環障碍)로 팔다리에 빈혈(貧血) 및 괴사(壞死)를 일으키는 기질성동맥질환(奇疾性動脈疾病)의 하나임. 한쪽 손 발끝 특히 발가락에서 시작하며 20-40세에 많고 동맥내막(動脈內膜)의 염증(炎症)과 혈전(血栓)을 일으키고 기질적인 동맥폐쇄(動脈閉鎖)를 가져오는 병으로 폐쇄성 동맥경화증(閉鎖性 動脈硬化症)과는 다른 병임. 엄지발가락 손가락 등에 생김.
☞ 니코틴‧알코올 중독(中毒), 외상(外傷), 동상(凍傷), 알레르기, 내분비 장애(內分泌 障碍), 자율신경 장애(自律神經 障碍), 감염(感染), 비타민A 결핍 등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아직 분명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음.
☞ 흔히 발에 생기는데 처음에는 발끝이 시리고 저리며 발가락과 발이 파래지는 청색증(靑色症)이 생기고 아픔.걸으면 더 심해지고 쥐가 나며 쉬면 좀 나아지나 걸으면 다시 아프고 다리를 절게 됨. 이어서 말초동맥(末梢動脈)의 박동(博動)이 약해지거나 나타나지 않으며 피부는 거칠어지고 발톱이 오그라들며 다리가 가늘어짐. 더 진행되면 발끝에서부터 작은 상처(傷處)나 농양(膿瘍)이 생기고 감염(感染)되면 몹시 붓고 아프며 차츰 괴사상태(壞死狀態)가 됨.
☞ 건성괴사(乾性壞死) 상태로 되었다가 차츰 진물이 나오면서 습성괴사(濕性壞死)로 되며 통증(痛症)이 심하여 잠을 자지 못함. 경과는 1기∼3기로 나눔. 나중에는 몸이 몹시 여위고 발가락이 떨어져 나가며 차츰 괴사(壞死)가 위쪽으로 올라감. |
혈관염(血管炎) |
혈관벽(血管壁)에 염증(炎症)이 생기고 이에 따른 조직손상이 발생하는 질환.
☞ 혈관벽의 염증과 이에 따른 조직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임. 혈관벽에 염증이 발생하면 이 혈관을 통해 영양공급을 받던 조직에도 허혈이 일어나 결국 조직손상이 발생됨.
☞ 신체 내 모든 형태의 혈관과 모든 장기의 혈관이 침범될 수 있으므로 침범된 혈관의 위치와 특성에 따라 증상 및 증후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 지저 질환 없이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류머티스 관절염 이나 전신 홍반루프스 같은 류마티스 질환과 동반되어 이차적으로 발생될 수도 있음. |
혈담(血痰) |
가래에 혈편(血片-핏덩어리)이 섞여 나오는 증상. |
혈리(血痢) |
대‧소변(大‧小便)에 피가 섞여 나오는 병증. |
혈림(血淋) |
임증(淋症)의 하나.
☞ 소변이 껄끄럽고 아프면서 피(血)가 섞여 나오는 증세. 열(熱)이 심해 혈(血)을 쳐서 혈(血)이 상도(常道)를 벗어나 소장(小腸)을 거쳐 아래로 내려와 소변과 함께 나옴.
☞ 혈허(血虛), 하원허냉(下元虛冷), 어혈정축(瘀血停蓄) 등으로 일어남. 하원(下元)이 허냉(虛冷)하면 배뇨 시에 동통(疼痛)이 심하지 않고 소변이 담홍색이며, 맥(脈)이 허삭(虛數)함. 혈냉(血冷)이면 얼굴이 마르고 희며 맥(脈)은 깊고 느림. 혈열(血熱)이면 소변이 나올 때 따갑고 아프며 선홍색임. 어혈(瘀血)이 있으면 아랫배가 딴딴하고 소변이 나올 때 요도가 칼로 찌르듯 아프고 선홍색이며 맥(脈)은 힘이 있게 느껴짐. |
혈붕(血崩) |
붕루(崩漏). 월경기간(月經期間)이 아닌 때 갑자기 많은 량의 피가 멎지 않고 나오는 병증. |
혈비(血痺) |
비증(痺症)의 하나. 사기(邪氣)가 혈분(血分)으로 들어가 발생하는 비증.
☞ 기혈(氣血)이 허한(虛寒)한데 바람을 맞으며 잠을 잤거나 노동을 하여 땀이 나는데 풍사(風邪)가 허(虛)한 틈을 타고 침입하여 혈기(血氣)가 막혀 통하지 않아 발생함.
☞ 몸에 감각이 없어지고 사지의 뼈마디가 아프고맥(脈)이허삭(虛數)함. |
혈소판감소성 자반병(血小板減少性 紫斑病) |
혈액속의 혈소판(血小板)이 줄어들어 출혈(出血)
이 생기는 병증. 간염(肝炎), 항암제(抗癌劑) 사용 따위가 원인으로 피부에 혈반(血斑)이 나타남. |
혈어경폐(血瘀經閉) |
핏속에 어혈(瘀血)이 생겨 월경(月經)이 막힘. |
혈어창통(血瘀脹痛) |
핏속에 어혈(瘀血)이 생겨 부풀어 올라 아픈 통증. |
혈열어체(血熱瘀滯) |
혈(血)에 열(熱)이 쌓여 어혈(瘀血)이 생겨 막힘(滯). |
혈울(血鬱) |
혈체(血滯)로 생긴 울증(鬱症).
☞ 성이 나서 소리를 지르거나 넘어졌거나 삐었거나 굶주렸거나 일을 너무 많이 해서 생김.
☞ 가슴과 옆구리가 찌르는 듯이 아프고 팔다리에 힘이 없고 음식은 먹을 수 있으나 대변(大便)이 붉고 소변(小便)은 임력(淋瀝-물방울 떨어지듯 힘이 없음)하고 심하면 입술과 혀가 파래지고 월경불순(月經不順)이 일어나고 맥(脈)은 침(沈), 규(芤), 삽(澁)하거나 결(結), 촉(促)함. |
혈전(血栓) |
혈관(血管)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 혈전증(血栓症)이란 혈전(血栓)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으로 혈전색전증(血栓塞栓症)이라고도 하며, 혈전(血栓)에 의해 혈관(血管)이 막힌 질환임.
☞ 우리 몸은 여러 가지 혈전형성인자(血栓形成因子)와 조절인자(調節因子)가 균형을 이루고 있어서 정상인 에게는 과도한 혈전(血栓)이 만들어지지 않음.
☞ 혈전(血栓)이 발생되는 원인은 혈류(血流)의 느림, 응고과다(凝固過多), 혈관손상(血管損傷)의 3가지 경우가 대표적임.
☞ 동맥혈전증(動脈血栓症)일 경우는 혈액(血液)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여 말초혈류(末梢血流)가 부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혈허(血虛) 증상이 주(主)를 이루고 정맥혈전증(靜脈血栓症)은 혈액(血液)이 말초(末梢)까지는 도달하였으나 심장(心臟)으로 되돌아오지 못하여 발생되는 울혈(鬱血), 충혈(充血) 증상이 주(主)를 이룸. |
혈전용융(血栓熔融) |
혈전(血栓)을 녹임(熔融). |
혈조생열(血燥生熱) |
피가 마르고 굳어(血燥) 몸에 열(熱)이 남. |
혈체경폐(血滯經閉) |
피(血)가 막혀(滯) 잘 통하지 않아 월경(月經)이 막힘(閉). |
혈탈익기(血脫益氣) |
많은 실혈(失血)로 허약한 몸에 기(氣)를 크게 보익(補益)하여 혈허(血虛)를 치료하는 방법. |
혈한경폐(血寒經閉) |
몸이 냉(冷)하여 혈(血)이 차가워져(寒) 월경(月經)이 막힘(閉). |
혈해(血海) |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의 경혈(經穴)로서 무릎 뼈 위 2촌, 넓적다리 뼈(대퇴골 大腿骨) 안쪽의 넓다리 빗근(봉곤근 棒棍筋) 갈래의 불룩한 곳에 위치(任脈, 衝脈) |
혈허(血虛) |
피(血)가 모자람(虛).
☞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해지며 이명증(耳鳴症), 심계정충(心悸怔忡-놀래고 불안하고 두려운 마음),불면증(不眠症) 등이 있고 얼굴에 핏기가 없으며 맥(脈)이 가늘고 빠르며 여성의 경우는 월경불순(月經不順)을 수반함.
☞ 보혈약(補血藥)으로는 당귀(當歸), 숙지황(熟地黃), 백작약(白灼藥), 아교(阿膠), 하수오(何首烏), 오디,용안육(龍眼肉) 등이며, 처방(處方)은 사물탕(四物湯),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귀비탕(歸脾湯), 구감초탕(灸甘草湯) 등이 있음. |
혈허내열(血虛內) |
혈액(血液)이 부족(不足)해서 체내(體內)에 생기는 열(熱). |
혈허발경(血虛發痙) |
혈허(血虛)로 경련(痙攣)이 발작(發作)함. |
혈허유열(血虛有熱) |
혈허(血虛)로 몸에 열(熱)이 많음. |
혈허폐조(血虛肺燥) |
피(血)가 부족하여 폐(肺)가 건조(乾燥)해짐. |
혈허화동(血虛火動) |
혈허(血虛)로 화(火-열기)가 움직여(動) 위로 솟구침. |
혈허화치(血虛火熾) |
혈허(血虛)로 화(火-열기)가 치열(熾烈)하게 위로 솟구침. |
혈훈(血暈) |
음혈모손(陰血耗損)으로 생긴 현훈(眩暈). 실혈(失血)이 많거나 열병으로 영혈(營血)이 작상(灼傷) 되거나, 허화(虛火)가 치성(熾盛)하여 또는 심비(心脾)의 양기(陽氣)가 부족한 등으로 혈(血)이 뇌(腦)를 채우지 못해 일어남. 심비양허(心脾兩虛)면 안면창백(顔面蒼白), 정신피로(精神疲勞), 무력(無力), 심계(心悸), 음식감소(飮食減少) 등이 일어남. 음허(陰虛)면 오심번열(惡心煩熱), 불면(不眠), 도한(盜汗), 신체수척(身體瘦瘠), 설강(舌絳), 맥세(脈細) 등이 나타남. 뇌빈혈(腦貧血), 산후현훈(産後眩暈)과 비슷함. |
혈휴(血虧) |
피(血)가 모자라 어지러운(虧) 증상. |
협륵작통(脇肋作痛) |
가슴과 옆구리에 통증(痛症)이 일어남. |
협륵창통(脇肋脹痛) |
가슴과 옆구리가 뻐근하면서 아픈 병증. 간기울결(肝氣鬱結)로 생기며 심번(心煩),흉민창통(胸悶脹痛) 등 증(症)이 정서에 따라 변함. 담음(痰飮)으로 생기면 어지럽고 온 몸이 마목불인(痲木不引)함. 간경(肝經)의 허한(虛寒)으로 생기면 숨이 차고 눈이 뿌옇고 침침하며 맥(脈)이 지약(遲弱)함. |
협심증(狹心症) |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 冠狀動脈)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 활동함.
☞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 혈전증(血栓症), 혈관(血管)의 수축(收縮)이나 연축(連縮) 등의 원인으로 3개의 관상동맥(冠狀動脈) 중 어느 것 하나라도 급성(急性)이나 만성(慢性)으로 협착(狹窄-수축 등의 원인으로 혈관의 지름이 감소하는 것)이 일어 날 경우, 심장(心臟)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공급(血流供給)이 감소 하면서 산소와 영양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心臟筋肉)이 2차적으로 혈허(血虛)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을 협심증(狹心症)이라 함.
☞ 협심증(狹心症)이 오면 ‘가슴을 쥐어 짠다’, ‘가슴에 싸한 느낌이 든다’고 호소하며, 주로 가슴의 정중앙 또는 좌측부위에 통증(痛症)을 호소하게 되며 대개 호흡곤란(呼吸困難)을 동반함. |
협통울증(脇痛鬱症) |
가슴(脇)이 결리고 아프며(痛) 답답한(鬱) 증상(症狀). |
호위기표(護衛肌表) |
사기(邪氣)가 체표(體表)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피부를 보호하고 지키는 효능 |
혼궐(昏厥) |
궐증(厥症)의 하나.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면서 팔다리가 싸늘해 지는 것. 원인은 여러 가지로 의식을 잃은 다음 얼마 후 스스로 깨는 것과 오랜기간 지속되는 것이 있음. 앞의 것은 울모(鬱冒)나 중서(中暑), 여러 가지 궐증(厥症)에서 나타나며, 뒤의 것은 중풍(中風), 시궐(尸厥) 등에서 나타남. |
혼삽증(昏澁症) |
눈의 병증(病症). 눈이 흐리고(昏) 껄끄러우며(澁) 가려운 증상(症狀). |
혼화(昏花) |
정신이 희미하고 눈앞에 검정 꽃이 핀 것 같이 눈이 어둡고 아찔함. |
홍건(烘乾) |
약재(藥材)를 불에 쬐거나 그을려서 건조시킴. |
홍역(紅疫) |
홍역(紅疫)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感染)으로 발생하며 전염성(傳染性)이 강하여 감수성 있는 접촉자의 90% 이상이 발병(發病)함.
☞ 발열(發熱), 결막염(結膜炎), 콧물, 홍반성 반점(紅斑性 斑點), 구진(丘疹)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점막진(粘膜疹)이 생기는 것이 특징임.
☞ 한번 걸린 후 회복되면 평생 면역(免疫)을 얻게 되어 다시는 걸리지 않음. |
화건(火乾) |
약재(藥材)를 불(火)로 건조(乾燥)시킴. |
화농(化膿) |
외상(外傷)을 입은 피부나 각종 장기(臟器)에 농(膿-고름)이 생기는 증세. |
화담(化痰) |
담(痰)을 삭이는 효능. |
화담개규(化痰開竅) |
담(痰)이 성(盛)하여 정신이 혼미해질 때 담(痰)을 제거하고 개규(開竅)시켜 치료하는 방법. |
화담산결(化痰散結) |
담(痰)을 삭혀 뭉친 것을 풀어주는 효능. |
화담식풍(化痰熄風) |
담(痰)을 삭이고(化) 풍(風)을 그치게(熄) 하는 효능. |
화담지해(化痰止咳) |
담(痰)을 삭이고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능. |
화담해수(化痰咳嗽) |
담(痰)과 해수(咳嗽)를 없애는 효능. |
화동정류(火動停留) |
몸 안에 화(火)가 동(動)하여 머물러 있음(停留). |
화부(化腐) |
썩은 피부(皮膚)를 치료하는 효능. |
화습(化濕) |
방향성(芳香性) 있는 거습약(祛濕藥)으로 습사(濕邪)를 없애는 방법. |
화습개위(化濕開胃) |
습(濕)을 말리고 위장(胃腸)의 기능을 좋게 하는 효능. |
화습벽탁(化濕僻濁) |
습(濕)을 없애고 탁(濁)한 기운을 몰아냄. |
화습소비(化濕消痞) |
습(濕)을 말리고 비증(痞症)을 없애는 효능. |
화습지대(化濕止帶) |
몸의 습기(濕氣)를 조화롭게(化)하여 대하(帶下)를 그치게(止) 함. |
화안(火眼) |
몸의 열(熱)이 머리 쪽으로 몰려 눈(眼)이 충혈(火)되는 증상. |
화어지혈(化瘀止血) |
어혈(瘀血)을 풀어(化) 출혈(出血)을 멈추게 함. |
화왕(火旺) |
몸 안에 화기(火氣)가 왕성(旺盛)함. |
화위강역(和胃降逆) |
위(胃)를 편안하게 하여 구역(嘔逆)을 내리게 하는 효능. |
화위소담(和胃消痰) |
위(胃)를 편안하게 하여 담(痰)을 삭이는 효능. |
화위이기(和胃理氣) |
기(氣)‧담(痰)‧식(食)‧습(濕) 등의 병사(病邪)가 중완(重脘)에 쌓였을 때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는 효능. |
화위지구(和胃止嘔) |
위(胃)를 편안(便安)하고 조화(調和)롭게 하여 구토(嘔吐)를 그치게(止) 함. |
화위화습(和胃化濕) |
위장(胃腸)을 조화롭게 하여 습(濕)을 말리는 효능. |
화음(化飮) |
몸 안에 생긴 수음(水飮)을 없애는 효능. |
홍종열통(紅腫熱痛) |
종기(腫氣) 부위가 붉게 부어오르고 열이 나면서 아픈 병증. |
화중(和中) |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적으로 만드는 효능. |
화중소식(和中消食) |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소화를 잘 되게 하는 효능. |
화중완급(和中緩急) |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급박한 것을 이완시키는 효능. |
화중지구(和中止嘔) |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구토(嘔吐)를 멈추게 하는 효능. |
화해(火咳) |
몸에 열(熱)이 쌓여 생기는 기침. |
화해퇴열(和解退熱) |
발산(發散)이나 공하(攻下)의 방법을 쓰지 않고 열사(熱邪)를 잘 풀어서 없애는 효능. |
화혈(和血) |
혈(血)의 운행(運行)을 조화(調和)롭게 하는 효능(效能). |
화혈산어(和血散瘀) |
혈(血)의 운행(運行)을 조화(調和)롭게 하여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효능. |
활담(豁痰) |
담(痰)을 걷어내는 효능. |
활리(滑利) |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여 잘 흐르게 하는 효능(效能). |
활설(滑泄) |
물찌똥을 몹시 누는 병증. |
활장(滑腸) |
장(腸)을 윤택하게 하여 대변(大便)을 잘 보게 하는 효능. |
활장통변(活腸通便) |
장(腸)을 원활하게 하여 배변(排便)이 잘 나가게 하는 효능. |
활정(滑精) |
평소 깨어있는 동안 성적충동(性的衝動)으로 정액(精液)을 저절로 흘리는 증상. 성교(性交)를 과도하게 하여 정규(精竅-정액이 나오는 구멍)가 자주 열려 하초(下焦)가 부실해져 정액(精液)을 간직하지 못해 일어나며, 기(氣)가 부족한 허증(虛症)이 많음이 특징임. 이 때 심비(心脾)의 기(氣)가 허(虛)하면 음식을 먹지 못하기도 함. |
활탈(滑脫) |
정기(精氣)가 심하게 빠져나가 몹시 허약한 상태로 되는 것. |
활탈불금(滑脫不禁) |
활탈(滑脫)을 막지 못함. |
활혈거어(活血祛瘀) |
활혈산어(活血散瘀), 활혈어체(活血瘀滯), 활혈화어(活血化瘀). 즉 혈(血)을 활발하게 순환시켜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효능. |
활혈거풍(活血祛風) |
혈(血)을 활발하게 순환시켜 풍기(風氣)를 몰아내는 효능. |
활혈보혈(活血補血) |
혈(血)을 활발하게 하고 혈(血)을 보충(補充)시키는 효능. |
활혈산어(活血散瘀) |
활혈거어(活血祛瘀). |
활혈소종(活血消腫) |
혈(血)을 활발하게 운행하여 부종(浮腫)을 가라앉히는 효능. |
활혈어체(活血瘀滯) |
활혈거어(活血祛瘀). |
활혈조경(活血調經) |
혈(血)을 활발하게 하여 월경(月經)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 |
활혈지통(活血止痛) |
혈(血)을 활발하게 하여 통증(痛症)을 없애주는 효능. |
활혈통경(活血通經) |
혈(血)을 활발하게 하여 월경(月經)을 통(通)하게 하는 효능. |
활혈통락(活血通絡) |
혈(血)을 잘 돌게 하여 기(氣)를 통(通)하게 하는 효능. |
활혈행기(活血行氣) |
혈(血)을 사방천지로 잘 돌게 하고 기(氣)의 순환을 순조롭게 함. |
활혈화어(活血化瘀) |
활혈거어(活血祛瘀). |
황달(黃疸) |
혈색소(血色素-헤모글로빈)와 같이 철분을 포함하고 있는 특수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과정 에서 생성되는 황색의 담즙색소(膽汁色素-빌리루빈)가 몸에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쌓여 눈의 공막(鞏膜- 위)과 피부(皮膚), 점막(粘膜) 등이 노랗게 착색되는 병증. 빈은 체내에 들어온 물질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독성물질(毒性物質)이며, 보통은 간(肝)에서 해독작용(解毒作用)을 거친 후 담즙(膽汁)으로 배설됨.
☞ 황달(黃疸) 발생 원인은 빌리루빈이 체내에서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생성되거나 또는 생성된 빌리루빈이 몸 밖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임. |
황색점조(黃色粘稠) |
담(痰-가래)의 색깔이 누렇고(黃), 농도(濃度)가 짙어 뻑뻑함(粘稠). |
황정즙(黃精汁) |
둥글레(黃精) 즙(汁). |
황주(黃酒) |
정종. |
황토초(黃土炒) |
약재(藥材)를 황토(黃土)에 싸서 볶음(炒). |
회궐(蛔厥) |
회충(蛔蟲)으로 발작성 복통(發作性 腹痛), 번조(煩燥), 수족궐냉(手足厥冷) 등이 나타나는 병증.위중(胃中)의 기(氣)가 차서 회충(蛔蟲)이 불안해 하여 일어남. 갑자기 아프다가 멎곤 함. 먹으면 구역질이 나며,심하면 회충을 토해내고 때로는 오한발열(惡寒發熱)이 있음. |
회양(回陽) |
잃었던 양기(陽氣)를 다시 돌아오게(回) 함. |
회양통맥(回陽通脈) |
양기(陽氣)를 회복시켜 맥(脈)이 잘 통하게 하는 효능. |
회양구역(回陽救逆) |
양(陽)을 다시 돌아오게 하여 사지(四肢)가 궐역(厥逆)한 증상을 치료한다는 뜻으로 망양증(亡陽症)에 주로 응용됨. 응급상황(應急狀況)에 주로 사용되는 회양구역(回陽救逆) 작용은 인삼(人蔘),부자(附子), 건강(乾薑)에 주로 있는 효능(效能)으로 보양효능(補陽效能)과는 다른 개념임. |
회유(回乳) |
젖이 다시 나오게 하는 효능. |
횡격막(橫隔膜) |
가슴과 배를 나누는 근육(筋肉)으로 된 막(膜)으로 횡격막의 위쪽을 가슴, 아래쪽을 배로 구분하며 가로막이라고도 함. 횡격막은 오리너구리나 바늘두더지를 비롯한 포유류(哺乳類)에서만 가지고 있는 막(膜)으로 횡격막의 상하운동에 의해 호흡(呼吸)이 이루어짐. |
효천(哮喘) |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며 숨이 차는 증상. |
후비(喉痺) |
후폐(喉閉). 목구멍 속에 종기(腫氣)가 나거나 목 안이 벌겋게 붓고 아프며 막힌 감이 있는 병증(후두염, 편도선염 등). |
후중담명(喉中痰鳴) |
목구멍(喉)에 담(痰)이 차서 가래 끓는 소리(痰鳴)가 남. |
훈궐(暈厥) |
갑자기 현기증(眩氣症)이 나면서 쓰러지고 정신이 혼미(昏迷)한 증상. |
훈세(熏洗) |
훈세(熏洗)와 세척법(洗滌法)을 함께 실시하는 치료법. 약물을 물에 넣고 끓여서 이때 나오는 증기(蒸氣)에 환부(患部)를 쏘이고 다음에 그 물에 환부를 씻거나 그 물에 천을 적셔 따뜻하게 하여 환부에 붙이는 방법. |
휴손(虧損) |
기준에 미치지 못함. 손실(損失-잃어버리거나 축나서 손해를 봄). |
흉격만민(胸膈滿悶) |
번조(煩燥)하고 근심이 가득하면서 가슴이 아픈 온갖 증세. |
흉격비만(胸膈痞滿) |
가슴과 배가 부르고 속이 답답하여 숨이 가빠지는 병증. |
흉격창민(胸膈脹悶) |
번민(煩悶)이 가득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울적(鬱寂)한 증세. |
흉민(胸悶) |
가슴(胸)이 답답한(悶) 증세. 중초(中焦)에 습열(濕熱)이나 습담(濕痰)이 막히고 사기(邪氣)가 가슴 속을 어지럽혀 일어남. |
흉민복창(胸悶腹脹) |
가슴(胸)이 답답하고(悶) 배(腹)가 창만(脹滿)한 증세. |
흉민불창(胸悶不脹) |
가슴(胸)은 답답하나 팽팽하게 부풀어 오르지는 않은 증세. |
흉민창통(胸悶脹痛) |
가슴(胸)이 답답하고 부풀어 오르면서 아픈 증세. |
흉비(胸痞) |
가슴이 막히는 듯 하면서 아픈 것을 위주로 하는 병증. 습담(濕痰), 어혈(瘀血) 등 음사(陰邪)가 가슴에 몰려서 양기(陽氣)가 제대로 돌지 못하거나 맥락(脈絡)이 통하지 못해서 생김. 가슴이 벅차고 답답하며 아픈데 심하면 통증(痛症)이 뒷등에까지 퍼지고 숨이 가쁘며 편안히 눕지 못함. |
흉협고만(胸脇苦滿) |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누르면 저항감과 압통(壓痛)을 느끼는 상태. 간담(肝膽)경맥(經脈)의 기(氣)가 실조(失調)하거나 담화(膽火)가 가슴에 몰려서 생김. 흔히 소양병(少陽病), 울증(鬱症) 때 나타남. |
|
흉협역만(胸脇逆滿) : 가슴 밑으로부터 치밀어 오르는 듯한 가슴 팽만감(膨滿感). |
흉협창통(胸脇脹痛) |
가슴과 옆구리가 결리고 헛배가 불러 일어나는 통증(痛症). |
흑두(黑豆) |
검은 콩. |
흑발열안(黑髮悅顔) |
머리카락(髮)이 검어지고(黑) 얼굴(顔)에 즐거운(悅) 빛이 돌게 됨. |
흔종동통(炘腫疼痛) |
종기(腫氣)가 아직 터지지 않고 벌겋게 부어올라 화끈거리면서(炘) 아픈 증세. |
히스테리(Hysterie) |
정신적, 심리적 갈등으로 일어나는 정신신경증(精神神經症). 신경증(神經症)이나 심적반응(心的反應)의 한 형(形)을 말하는 경우와 정신병질(精神病疾) 또는 이상성격(異常性格)의 한 형(形)으로 보는 경우로 나눔. 이상성격(異常性格)의 형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자기중심적으로 항상 남의 이목(耳目)을 집중 시키는 것을 바라고, 오기가 있고 감정의 기복이 심한 성격으로 현시성 (顯示性)인 병적성격(病的性格)을 말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