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해설

용어해설 카편

한들 약초방 2014. 1. 6. 14:50

 

 

 카편, 용 어 해 설

 

용 어

카편, 용 어 해 설

칸디다증(Candida症)

진균의 일종인 칸디다(Candida)에 의해 신체의 일부 또는 여러 부위가 감염(感染) 되어 발생하는 질환.

칸디다증은 유아나 노인, 면역억제제(免疫抑制劑) 사용자, 항암치료(抗癌治療)를 받는 암환자, 후천성 면역 결핍증(後天性 免疫缺乏症) 환자에게 잘 발생함. 두경부(頭頸部-머리와 목)에 방사선(放射線) 치료를 받거나 구강건조증(口腔乾燥症)이 있으면 구인두(口咽頭) 칸디다증을 일으키기 쉬움. 기존에 특별히 질환을 앓고 있지 않은 성인(成人)에게서 중증(重症) 또는 재발성(再發性)의 구인두(口咽頭) 칸디다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함.

증상(症狀)은 감염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남. 칸디다는 흔히 피부(皮膚)나 점막(粘膜)의 표층(表層)에 국한된 감염증을 일으키고 아구창(鵝口瘡)을 포함, 구인두(口咽頭)나 식도염증(食道炎症), 외음부염(外陰部炎),질염(膣炎), 손발톱 주위염 등의 증상이 나타남. 구인두(口咽頭)나 식도(食道)에 칸디다가 증식하게 되면 입안이 불편하고 맛을 잘 느끼지 못하며 음식물을 씹거나 넘길 때 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외음부질염(外陰部膣炎)은 가장 흔한 표재성(表在性) 칸디다 증으로 외음부(外陰部)의 소양감(瘙瘍感), 따가움, 질 통증(膣 痛症), 성교시 통증, 및 탁한 색의 덩어리진 질 분비물(膣 分泌物) 등의 증상이 나타남.

혈류(血流)를 통해 균(菌)이 신체 여러 부위로 퍼지는 경우는 칸디다균이 신장(腎臟), 심장(心臟), 뇌(腦),안구(眼球) 등 다양한 장기(臟器)에 침범하여 병적인 변화를 일으키며 발열(發熱), 오한(惡寒) 등 일반적인감염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반적인 신체 증상이 동반될 수 있음.

111

 

'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해설 자편  (0) 2014.01.06
용어해설 차편  (0) 2014.01.06
용어해설 타편  (0) 2014.01.06
용어해설 파편  (0) 2014.01.06
용어해설,하편  (0) 2014.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