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
◈治思慮太過心血不足驚悸煨盔神精恍惚夜多異夢牿悸煩鬱及腎氣傷敗遺精白濁漸至岪弱龍齒二兩半熟地黃天門冬遠志薑製山藥各一兩半白茯巔白茯神五味子車前子肉桂麥門冬各一兩二錢半朱砂(水飛爲衣)人參各五錢酸棗仁炒二錢半右爲末蜜丸梧子大朱砂爲衣空心溫酒或米飮呑下三五十丸《入門》
◈사색을 지나치게 하여 심혈이 부족해져서 경계증과 정충증이 생긴 것과 정신이 얼떨떨하고 밤에 이상한 꿈이 많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라며 신기(腎氣)가 상해서 유정(遺精)과 백탁(白濁)이 나오면서 점차 몸이 쇠약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용치 100g, 찐지황(숙지황), 천문동, 원지(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마(서여) 각각 60g, 흰솔풍령(백복령), 백복신, 오미자, 길짱구씨(차전자), 육계, 맥문동 각각 50g, 주사(수비하여 겉에 입힌다.), 인삼 각각 20g,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30-5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
출처 ;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11세기)
편명 ; 권제오(卷諸五) 치제허(治諸虛)
내용 ; 사려를 지나치게 하여 심혈(心血)이 부족해져서 경계(驚悸)와 정충(怔忡)이 생긴 것, 정신이 황홀한 것, 밤에 이상한 꿈을 많이 꾸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한 것, 신기(腎氣)가 상해서 유정(遺精)과 백탁(白濁)이 있으면서 점차 몸이 쇠약해지는 것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당귀(當歸): 225 g. 노두(蘆頭)를 제거한다.
맥문동(麥門冬): 150 g. 심을 제거한다.
백자인(柏子仁): 150 g.
복신(茯神): 150 g.
생건지황(生乾地黃): 150 g.
석창포(石菖蒲): 600 g. 마디가 빽빽한 다.
숙건지황(熟乾地黃): 150 g.
용골(龍骨): 37.5 g.
원지(遠志): 262.5 g. 심을 제거하고 감초와 함께 3, 4번 끓인다.
진사(辰砂): 112.5 g. 따로 갈고 겉옷을 입힌다.
천문동(天門冬): 150 g.
고경(苦梗): 112.5 g. 볶는다.
건산약(乾山藥): 150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분말을 내어 연밀에 오동나무씨만하게 환약을 만들어서 한 번에 30알씩 빈속에 죽과 함께 복용하거나 따뜻한 술에 복용한다. 점차 50알로 용량을 증가한다.
주치병증
사지권태(四肢倦怠)
손발에 힘이 없어 움직이기 싫어하는 병증.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신동(身疼)>에서 「남성과 여성의 기혈(氣血)이 과로로 인하여 손상되면 팔다리가 나른하고 몸이 마르며 뼈마디가 욱씬욱씬 아프다.(男子婦人氣血勞傷, 四肢倦怠, 肌體羸瘦, 骨節煩疼.)」라고 하였다. 대부분 비위(脾胃)가 허약하여 팔다리를 따뜻하고 원활하게 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내상노권(內傷勞倦), 비허구사(脾虛久瀉)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양방병증 ; 팔다리 무력증
심신불안(心神不安)
심신(心神)이 안정되지 못함
양방병증 ; 불안
정신황홀(精神恍惚)
정신이 안정되지 못하여 갈팡질팡하고 갈피를 잡지 못하는 것.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내용 ; 사려를 지나치게 하여 심혈(心血)이 부족해져서 경계(驚悸)와 정충(怔忡)이 생긴 것, 정신이 황홀한 것, 밤에 이상한 꿈을 많이 꾸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한 것, 신기(腎氣)가 상해서 유정(遺精)과 백탁(白濁)이 있으면서 점차 몸이 쇠약해지는 것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맥문동(麥門冬): 46.875 g.
복령(茯苓): 46.875 g.
복신(茯神): 46.875 g.
산약(山藥): 56.25 g.
산조인(酸棗仁): 9.375 g.
숙지황(熟地黃): 56.25 g.
오미자(五味子): 46.875 g.
용치(龍齒): 93.75 g.
원지(遠志): 56.25 g.
육계(肉桂): 46.875 g.
인삼(人蔘): 18.75 g.
주사(朱砂): 18.75 g.
차전자(車前子): 46.875 g.
천문동(天門冬): 56.25 g.
조제용법 ; 가루내어 꿀로 환을 빚어 오동나무 씨 크기로 30알씩 미음과 함께 먹는다. (爲末 蜜丸 梧子大 每卅丸米飮下)
주치병증
사려상심(思廬傷心)
사려가 과도하여 심을 손상시킨 것.
심혈부족(心血不足)
심장(心臟)의 혈(血)이 부족함.
정충(怔忡)
(1) 심계(心悸)의 중증(重證). 심종(心忪), 종계(忪悸)라고도 함. [의편(醫碥)] 제4권에서 "계(悸)는 정충(怔忡)이다. 계(悸)란 가슴이 두근두근 뛰어 편하지 않은 것인데 속칭 심도(心跳)라 한다.(悸卽怔忡. 悸者, 心筑筑惕惕然動而不安, 俗名心跳.)"라고 하였다. (2) 가슴이 뛰면서 두려움을 느끼는 병증. [적수현주(赤水玄珠] 제6권에 "정충은 가슴이 툭툭 뛰어 공연히 편하지 않은 것이다.(怔忡者, 心中惕惕然動不自安也.)", "정충은 가슴이 공연히 편하지 않기만 한 것이고 계는 가슴이 뛸 뿐만 아니라 누군가 잡으러 쫓아오는 듯이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다.(怔忡止於心不自安, 悸則心旣動而又恐恐然畏懼, 如人將捕之.)"라고 하였다.
이명 ; 심종(心忪), 종계(忪悸)
양방병증 ; 심계항진; 발작성 빠른맥; 공포 불안 장애; 기타 불안 장애; 상세불명의 심장성 부정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