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내경편

안신환(安神丸)

한들 약초방 2015. 11. 4. 09:47

 안신환(安神丸)

 

 

 

治癲癎驚狂痰火諸證能鎭心安神人參白茯酸棗仁炒當歸生地黃酒炒黃連酒炒陳皮去白南星薑製各一兩朱砂(水飛爲衣)天竺黃各五錢雄黃琥珀眞珠牛黃各二錢右爲末蜜丸梧子大朱砂爲衣米飮下五十丸忌動風辛熱之物《回春》

 

 

전간과 놀라는 [癲驚], 미치는 [] 담화(痰火) 생기는 여러 가지 증을 치료하는데 마음과 정신을 진정시킨다.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 당귀, 생지황(술로 축여 볶은 ), 황련(술로 축여 볶은 ), 귤껍질(陳皮, 속을 버린 ), 천남성(생강즙으로 법제한 ) 각각 40g, 주사(수비하여 겉에 입힌다.), 천축황 각각 20g, 석웅황(웅황), 호박, 진주, 우황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 풍을 일으킬 있는 맵고 열한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회춘].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동원(東垣)

편명 ; 정충경계건망증(怔忡驚悸健忘證)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굽는다.

생지황(生地黃): 1.875 g. 술로 씻는다.

주사(朱砂): 3.75 g. 따로 갈고 물에 거른다.

황련(黃連): 5.625 g. 술로 씻는다.

당귀신(當歸身): 1.875 g. 술로 씻는다.

 

조제용법 ;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갈아서, 찐떡으로 반죽하여 기장쌀만한 크기로 환을 만든다. 매번 식후에 50알씩을 자신의 침만 이용하여 복용한다.

 

주치병증

경계정충(驚悸怔忡)

경계(驚悸)와 정충(怔忡)을 아울러 이르는 말

양방병증 ; 심계항진

 

담다(痰多)

담탁(痰濁)이 많은 것을 말함.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도서출판한미의학 비지(秘旨)

편명 ; 장집 소아칙고방(長集 小兒則古方)

 

구성약재

귤홍(橘紅): 2.625 g.

당귀(當歸): 2.625 g.

반하(半夏): 3.75 g.

백복신(白茯神): 3.75 g.

산조인(酸棗仁): 3.75 g.

오미자(五味子): 5 개. 찧는다.

인삼(人蔘): 3.75 g.

자감초(炙甘草): 1.125 g.

작약(芍藥): 2.625 g. 볶는다.

 

조제용법 ; 가루 내어 생강즙으로 풀을 수어 검실대의 환을 만들어 1환씩 생강 달인 물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수중경동(睡中驚動)

수면중에 깜짝 놀라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심혈허(心血虛)

심허(心虛)의 하나. 과도한 실혈과 정신적, 육체적 과로로 비(脾)의 생혈(生血) 기능이 장애되어 생김. 두훈(頭暈), 심계(心悸), 심번(心煩), 불면, 건망, 안색창백 등이 나타나고 맥은 세, 삭(細數)함.

이명 ; 심혈부족(心血不足)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회춘(回春)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신(神)

 

구성약재

남성(南星): 37.5 g. 생강으로 포제한다.

당귀(當歸): 37.5 g.

백복령(白茯苓): 37.5 g.

산조인(酸棗仁): 37.5 g. 볶는다.

생지황(生地黃): 37.5 g. 술로 볶는다.

웅황(雄黃): 7.5 g.

인삼(人蔘): 37.5 g.

주사(朱砂): 18.75 g. 물로 걸러서 겉에 입힌다.

진주(珍珠): 7.5 g.

진피(陳皮): 37.5 g. 하얀부분을 제거한다.

천축황(天竺黃): 18.75 g.

호박(琥珀): 7.5 g.

황련(黃連): 37.5 g. 술로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오동나무 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

 

금기사항 ; 풍을 일으킬 수 있는 맵고 열한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

 

주치병증

경광(驚狂)

심간풍화(心肝風火)가 항성(亢盛)하여 정신을 어지럽히는 병증. 명나라 만밀재(萬密齋)의 [두진심법(痘疹心法)]에 "경(驚)은 구안왜사(口眼歪斜), 수족을 굽혔다 폈다 하는 병증이 발병했다가 멈췄다가 하는 것이고, 광(狂)은 수족(手足)이 요란(擾亂)하고, 언어가 조리가 없고 도를 넘는 병증이 발(發)하며 그치지 않는 것이다. 경(驚)은 심(心)이 화(火)를 주관하여 열(熱)을 싫어하며 간(肝)은 풍(風)을 주(主)하여 선동(善動)하는 것과 관계 있다.(驚者, 口眠歪斜, 手足搐搦, 隨發隨止, 狂者, 手足擾亂, 言語乖越, 發而不止. 驚者心主火而惡熱, 肝主風而善動.)"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전광(癲狂)

 

담화(痰火)

담(痰)으로 인해 생긴 화(火), 또는 담을 낀 화.

전간(癲癎)

(1) 간질(癎疾). 간병(癎病), 풍현(風眩)이라고도 한다. 고대에는 전(癲), 간(癎)의 두 글자가 통용되었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45권에서 "10세 이상은 전(癲)이 되고, 10세 이하는 간(癎)이 된다.(十歲以上爲癲, 十歲以下爲癎)"라고 하였다. (2) 전증(癲證)과 간증(癎證)을 통틀어 일컫는 말. 전은 정신착란의 일종이며, 간은 발작성 정신 질병을 말한다. [증치준승(證治準繩)] <잡병(雜病)>에서 "[소문(素問)]에서는 전(癲)만 말하고 간(癎)을 언급하지 않았다. [영추(靈樞)]에는 간계(癎瘈), 간궐(癎厥)이라는 병명이 있다. 그 밖의 여러 책들에서는 전광(癲狂)이라 하기도 하고 전간(癲癎)이라 하기도 하고 풍간(風癎)이라 하기도 하고 경간(驚癎)이라 하기도 하고 전(癲)과 간(癎)을 두 부문으로 나누기도 하여 정설(定說)이 없다. ……요컨대 전(癲), 간(癎), 광(狂)은 아주 동떨어진 다른 것이 아니라 사실상 하나를 말하는 것이다.([素問]止言癲而不及癎. [靈極]乃有癎瘈, 癎厥之名. 諸書有言癲狂者, 有言癲癎者, 有言風癎者, 有言驚癎者, 有分癲癎爲二門者, 迄無定論. ……要之, 癲, 癎, 狂大相徑庭, 非各殊而實一之謂也.)"라고 하였다.

이명 ; 간(癎), 전(癲)

양방병증 ; 간질; 열성 경련; 달리 분류되지 않은 경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