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寧心保神令人不忘除煨盔定驚悸養育心神生乾地黃酒洗四兩黃連酒炒二兩石菖蒲一兩人參當歸酒洗五味子天門冬麥門冬栢子仁酸棗仁炒玄參白茯神丹參桔梗遠志各五錢右爲末蜜丸梧子大朱砂爲衣臨臥以燈心竹葉煎湯呑下三五十丸《回春》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신기(神氣)를 보하여 잊어버리지 않게 하며 정충증( 證)을 없애고 경계증(驚悸證)을 멎게 하며 심신(心神)을 좋게 한다.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160g, 황련(술을 축여 볶은 것) 80g, 석창포 40g, 인삼, 당귀(술로 씻은 것), 오미자, 천문동, 맥문동, 측백씨(백자인),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현삼, 백복신, 단삼, 도라지(길경), 원지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30-50알씩 잠잘 무렵에 골풀속살(등심초)과 참대잎(죽엽)을 달인 물로 먹는다[회춘].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편주의학입문외집2권(編註醫學入門外集卷二) 잡병용약부 하 (雜病用藥賦 下) 제허(諸虛)
구성약재
감초(甘草):
길경(桔梗):
단삼(丹蔘):
당귀(當歸):
맥문동(麥門冬):
백복령(白茯苓):
백자인(柏子仁):
복신(茯神):
산조인(酸棗仁):
숙지황(熟地黃):
오미자(五味子):
원지(遠志):
인삼(人蔘):
창포(菖蒲):
천문동(天門冬):
현삼(玄蔘):
조제용법 ; 약들을 가루내어 환으로 만든다.
주치병증
유정(遺精)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병증. 꿈꾸는 중에 나오는 것을 몽유(夢遺)라고 하며, 꿈꾸지 않을 때에 나오는 것을 활정(滑精)이라 한다. 정(精)은 신(腎)이 갈무리하고 심(心)이 주관하므로 유정은 대부분 근심 걱정이 지나치거나 방사(房事)를 무절제하게 하여 심(心)과 신(腎)을 손상시킴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도수가 높은 술이나 맛이 짙은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 비위(脾胃)의 습열(濕熱)이 아래로 흘러 정실(精室)을 뒤흔들거나, 열이 울결하고 담(痰)이 막음으로써 생기는 경우도 있다. 신경을 지나치게 많이 쓰거나 헛된 생각을 많이 하면 대부분 심(心)이 손상되어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자리가 불안하면서 몽유가 자주 발생한다.
이명 ; 실정(失精), 유설(遺泄), 유설(遺洩),설정(泄精), 정설(精泄)
양방병증 ; 유정
정충(怔忡)
(1) 심계(心悸)의 중증(重證). 심종(心忪), 종계(忪悸)라고도 함. [의편(醫碥)] 제4권에서 "계(悸)는 정충(怔忡)이다. 계(悸)란 가슴이 두근두근 뛰어 편하지 않은 것인데 속칭 심도(心跳)라 한다.(悸卽怔忡. 悸者, 心筑筑惕惕然動而不安, 俗名心跳.)"라고 하였다. (2) 가슴이 뛰면서 두려움을 느끼는 병증. [적수현주(赤水玄珠] 제6권에 "정충은 가슴이 툭툭 뛰어 공연히 편하지 않은 것이다.(怔忡者, 心中惕惕然動不自安也.)", "정충은 가슴이 공연히 편하지 않기만 한 것이고 계는 가슴이 뛸 뿐만 아니라 누군가 잡으러 쫓아오는 듯이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다.(怔忡止於心不自安, 悸則心旣動而又恐恐然畏懼, 如人將捕之.)"라고 하였다.
이명 ; 심종(心忪), 종계(忪悸)
양방병증 ; 심계항진; 발작성 빠른맥; 공포 불안 장애; 기타 불안 장애; 상세불명의 심장성 부정맥
조열도한(潮熱盜汗)
주기적으로 열이 나면서 밤중에 자신도 모르게 땀이 나면서 깨면 땀이 멎는 것.
해수(咳嗽)
기침. 풍한서습(風寒暑濕)이 피모(皮毛)로 들어오면 피모는 폐와 합하므로 폐에 먼저 들어가고 차례로 오장에 전함. 칠정, 기포(七精飢飽)로 내상(內傷)하면 아래에서 음(陰)이 손상되므로 오장의 화(火)가 올라와 폐를 다그쳐서 기침이 남. 외감으로 생기면 발병이 비교적 빠르고 경과 과정이 짧으며 두통, 신통(身痛), 오한, 발열 등 외감 표증 증상이 겸해서 나타남. 내상이면 발병이 완만하고 경과도 길며 오한, 조열(潮熱), 담다대혈(痰多帶血), 기단(氣短), 후건(喉乾) 등과 해당 장부의 기능장애 증상이 함께 나타남.
양방병증 ; 기침; 백일해; 고름가슴; 좁쌀 결핵; 급성 기관염; 급성 인두염; 급성 편도염; 급성 후두염; 만성 후두염; 기관지확장증; 급성 세기관지염; 급성 후두기관염; 만성 후두기관염; 후두 디프테리아; 폐의 괴저 및 괴사; 기관의 악성신생물; 급성 코인두염[감기]; 가슴샘의 악성신생물; 단순성 만성 기관지염; 종격동의 고름집(농양); 상세불명의 상기도질환;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점액농성 만성 기관지염; 고체 및 액체에 의한 폐렴; 상세불명의 만성 기관지염; 신체형 자율신경 기능장애; 폐렴사슬알균에 의한 폐렴; 기관지 및 폐의 악성신생물;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폐렴; 상세불명의 급성 상기도 감염; 상세불명의 급성 하기도 감염;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폐렴; 폐렴을 동반한 폐의 고름집(농양); 기타 다발부위의 급성 상기도 감염;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의한 폐렴; 달리 분류되지 않은 바이러스성 폐렴; 심장, 종격동 및 가슴막의 악성신생물;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인플루엔자;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루프] 및 후두개염; 폐렴을 동반하지 않은 폐의 고름집(농양); 단순성 및 점액농성 혼합형 만성기관지염;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호흡기 결핵; 확인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감염성 병원체에 의한 폐렴; 기타 및 부위불명의 호흡기 및 가슴내 장기의 악성신생물; 세균학적으로나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호흡기 결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