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식상에 보하는 약[食傷補益之劑]

한들 약초방 2015. 12. 16. 11:35

 식상에 보하는 [食傷補益之劑]

 

 

脾胃弱而飮食難任者不可一用剋伐之藥宜錢氏異功散補之自然能食設或嗜食大過傷脾滿者權用枳實丸(卽枳實導滯丸)勿多服《綱目》

비위(脾胃) 허약해서 음식물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데는 일률적으로 내리미는 약을 없다. 이때에는 전씨이공산으로 보하면 자연히 낫는다. 즐겨하는 음식을 과식해서 비를 상하여 속이 트릿하고 그득한 데는 증상에 따라 지실환(枳實丸)  (枳實丸, 즉  지실도체환(枳實導滯丸) ) 쓰되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강목].

 

宿食吐下後氣虛宜補四君子湯(方見氣門)六君子湯(方見痰飮)補中益氣湯《入門》

 먹은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고 남아있어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킨 뒤에 기가 허해지면사군자탕(四君子湯)  (四君子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 육군자탕(六君子湯) (六君子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등으로 보하는 것이 좋다[입문].

 

食傷胃弱宜用醒脾育胃湯參朮健脾湯七珍散八珍散健胃保和元養脾丸八味理中丸滋脾丸異功散(方見五藏)健脾丸參壯脾元千金養脾元

 음식에 체해서 위가 약해졌을 때에는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칠진산(七珍散)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양비환(養脾丸)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자비환(滋脾丸) 이공산(異功散)  (異功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  건비환(健脾丸)  삼령장비원(蔘 壯脾元)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등을 쓰는 것이 좋다.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0) 2015.12.16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0) 2015.12.16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0) 2015.12.16
정향란반환(丁香爛飯丸)  (0) 2015.12.16
곡신원(穀神元)   (0) 2015.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