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칠진산(七珍散)

한들 약초방 2015. 12. 16. 11:41

 칠진산(七珍散)

 

 

補脾進食開胃養氣人參白朮黃蜜灸白茯山藥粟米微炒甘草灸各等分右爲末每三錢入薑三棗二煎服《本事》

 

비를 보하고 음식을 먹게 하며 위기를 도와준다.

인삼,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꿀물로 축여 볶은 ), 흰솔풍령(백복령), (산약), 좁쌀(粟米, 약간 닦은 ), 감초(닦은 )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본사].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본사(本事)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삼(卷三) 내상(內傷)

 

구성약재

감초(甘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굽는다.

백복령(白茯苓):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백출(白朮):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산약(山藥):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속미(粟米):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약간 볶는다.

인삼(人蔘):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황기(黃芪):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봉밀물로 축여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

 

효능 ; 보비진식(補脾進食)

 

주치병증

식상(食傷)

무절제하게 먹거나 마셔 비위(脾胃)를 손상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병증.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산보(産寶)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卷十) 부인(婦人)

 

구성약재

방풍(防風): 3.75 g.

생지황(生地黃): 7.5 g.

석창포(石菖蒲): 7.5 g.

세신(細辛): 3.75 g.

인삼(人蔘): 7.5 g.

주사(朱砂): 3.75 g.

천궁(川芎): 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3.75g씩 박하를 달인 물에 타 먹는다. 감초 3.75g을 더 넣으면 팔진산(八珍散)이라고 한다.

 

주치병증

산후불어(産後不語)

산후에 패혈(敗血)이 없어지지 않고 심(心)에 정체되어 있거나 산후에 기혈이 모두 빠져나가 심기(心氣)가 허하여져 말을 못하는 병증.이 병은 심기가 허하여 혀까지 통하지 못하거나 담열(痰熱)이 심을 침범하여 심기가 막혀 발생한다. [교주부인양방(校注婦人良方)] 제18권에서 "산후불어(産後不語)는 심기(心氣)가 허하여 기가 혀로 통하지 못하면 혀가 뻣뻣하여져 말을 못한다.(産後不語, 因心氣虛而不能通於舌, 則舌强不能語)"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산후 언어상실증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국방(局方)

편명 ; 부인과하 산후(婦人科下 産後)

 

구성약재

방풍(防風): 18.75g.

석창포(石菖蒲): 37.5g.

세신(細辛): 3.75g.

숙지황(熟地黃): 37.5g.

인삼(人蔘): 37.5g.

천궁(川芎): 37.5g.

 

조제용법 ; 위의 약을 가루내어 매번 한돈 숟가락씩 박하탕과 섞어 먹는다.

 

주치병증

산후불어(産後不語)

산후에 패혈(敗血)이 없어지지 않고 심(心)에 정체되어 있거나 산후에 기혈이 모두 빠져나가 심기(心氣)가 허하여져 말을 못하는 병증.이 병은 심기가 허하여 혀까지 통하지 못하거나 담열(痰熱)이 심을 침범하여 심기가 막혀 발생한다. [교주부인양방(校注婦人良方)] 제18권에서 "산후불어(産後不語)는 심기(心氣)가 허하여 기가 혀로 통하지 못하면 혀가 뻣뻣하여져 말을 못한다.(産後不語, 因心氣虛而不能通於舌, 則舌强不能語)"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산후 언어상실증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0) 2015.12.16
팔진산(八珍散)   (0) 2015.12.16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0) 2015.12.16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0) 2015.12.16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0) 2015.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