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진산(八珍散) ♣
◈治同上又治不思飮食前方加白扁豆薑汁炒一味也《本事》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또는 음식 생각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칠진산 처방에 까치콩(백편두,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한 가지 약만 더 넣는다[본사].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본사(本事)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삼(卷三) 내상(內傷)
내용 ; 산후(産後)에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굽는다.
백복령(白茯苓: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백출(白朮):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백편두(白扁豆): 생강즙으로 축여 볶는다.
산약(山藥):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속미(粟米):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약간 볶는다.
인삼(人蔘):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황기(黃芪):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봉밀물로 축여 볶는다.
조제용법 ; 칠진산 처방에 백편두(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로 한가지 약재만 더 넣는다. 약재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
효능 ; 보비진식(補脾進食)
주치병증
불사음식(不思飮食)
식욕부진을 말함. 불기식(不嗜食)이라고도 한다. (적수현주(赤水玄珠))에 "비위(脾胃)가 약하거나 혹은 병후에 비위(脾胃)의 기운이 아직 회복되지 않아서, 혹은 담(痰)이 중초(中焦)에 자리잡은 까닭에 음식 생각이 없는 것이지, 심하(心下)가 비만(痞滿)하여 먹기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由脾胃餒弱, 或病後而脾胃之氣未復, 或痰客中焦, 以故不思食, 非心下痞滿而惡食也.)"라고 하였다.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경집칠권(庚集七卷)
내용 ; 산후(産後)에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방풍(防風): 18.75 g.
석창포(石菖蒲): 37.5 g.
세신(細辛): 3.75 g.
인삼(人蔘): 37.5 g.
진사(辰砂): 18.75 g. 간다.
천궁(川芎): 37.5 g.
회생지황(懷生地黃):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 내어 매번 3.75g을 박하탕(薄荷湯)으로 수시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산후자한(産後自汗)
출산 후 땀이 그치지 않고 나오는 것. 산후에 음기(陰氣)가 허하고 양기(陽氣)가 더해져 표허이실(表虛裏實)이 되어 양기만 밖으로 나오게 된 것임. 이 때 풍(風)을 만나면 경증(痙證)이 되어 사지가 구급(拘急)하여 굽히고 펴기가 어렵게 됨. 또 변하여 허핍단기(虛乏短氣)하고, 몸이 여위고, 입과 입술이 건조하며, 오래되면 진액이 고갈되어 소변난(小便難)을 일으키기도 함.
양밥병증 ; 산후 땀남
산후해역(産後咳逆)
산후(産後)에 냉기(冷氣)가 비위(脾胃)로 들어가 영위(營衛)의 기(氣)가 어지러워져서 생기는 해역(咳逆). 출산(出産)할 때 힘을 과도하게 써서 기(氣)가 어지러워지면 위구(胃口)가 차고 더운 것을 알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혹 찬 기운이 비위로 들어가게 되는데, 그러면 영위의 기(氣)가 어지러워져서 해역이 발생하게 된다.
산후허한(産後虛汗)
산후(産後)에 음기(陰氣)가 손상되고 양기(陽氣)만 홀로 성(盛)하여 땀이 나는 증상.
양방병증 ; 산후 허약 땀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