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명산(保命散) ♣
◈治鵝口瘡不能橪乳枯白礬朱砂各一錢馬牙硝五錢右爲末每取一字用白鵝糞幕水調塗舌上及口內日三次卽效《入門》
◈아구창(鵝口瘡)으로 젖을 빨지 못하는 데 쓴다. 백반(구운 것), 주사 각각 4g, 마아초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백아분과 함께 물로 반죽한 다음 하루 세번씩 혀나 입 안에 바르면 곧 낫는다[입문].
===================================================================================
※출처 ; 의종금감(醫宗金鑑)(1742년)
구성약재 마아초(馬牙硝): 18.75 g. 백반(白礬): 9.375 g. 태워서 재로 만든다. 주사(朱砂): 9.375 g. 물로 거른다.
제조용법 ;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흰거위똥(白鵝糞) 과 함께 물로 반죽해 혀와 입가에 바른다.
주치병증 아구(鵝口) [천금요방(千金要方)] 제5권 상에서 ‘아이가 갓 뱃속에서 태어나자마자 생긴 아구(鵝口)는 그것이 혀 위에 싸라기처럼 하얗게 비늘로 뒤덮이고 심하면 콧속에도 생기는 것이다. 이것은 아이가 태 속에서 곡기(穀氣)를 지나치게 세게 받으므로 일어난 것이다.(凡小兒初生出腹有鵝口者, 其舌上有白屑如米; 劇者, 鼻中亦有之. 此由兒在胞胎中受穀氣盛故也.)’라고 하였다. (이명 ; 아구창(鵝口瘡))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념금산(一捻金散) (0) | 2016.02.08 |
---|---|
주반산(朱礬散) (0) | 2016.02.08 |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0) | 2016.02.08 |
제풍증[臍風] (0) | 2016.02.08 |
촬구증[撮口] (0) | 2016.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