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념금산(一捻金散)♣
◈治同上雄黃三錢鵬砂一錢甘草半錢龍腦少許右爲末乾敄或蜜調塗之《丹心》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석웅황(웅황) 12g, 붕사 4g, 감초 2g, 용뇌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른 가루를 뿌려 주거나 꿀로 개어 바른다[단심].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단심(丹心)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붕사(硼砂): 3.75 g. 용뇌(龍腦): 소량. 웅황(雄黃): 11.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마른 가루를 뿌려 주거나 꿀로 개어 바른다.
주치병증 아구창(鵝口瘡) 신생아, 영아의 설사 및 영양부족 또는 마진(麻疹)의 후기에 발생하는 구강질환으로 입 안의 점막이나 혀에 둥근 하얀 반점이 생기는 병증.비경(脾經)에 사열(邪熱)이 있거나 열이 오래 계속되어 위음(胃陰)을 상하여 발생한다. 젖먹이에게 흔히 나타난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50권에서 "소아(小兒)의 입 속에 하얀 가루 같은 것이 생기고 혀 위에는 창(瘡)이 생겨 마치 거위의 입 속과 같으니 세간(世間)에서 아구창(鵝口瘡)이라 한다.(小兒口裏所起白屑, 內至舌上成瘡, 如鵝口裏, 世謂之鵝口.)"라고 하였다. 이명 ; 아구(鵝口), 아구감(鵝口疳), 백구창(白口瘡), 설구(雪口) 양방병증 ; 아구창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장이 주관하는 허증과 실증[五臟所主虛實證] (0) | 2016.02.08 |
---|---|
갈초산(蝎梢散) (0) | 2016.02.08 |
주반산(朱礬散) (0) | 2016.02.08 |
보명산(保命散) (0) | 2016.02.08 |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0) | 2016.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