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 ◈治陰虛火動睡中盜汗午後發熱咳嗽痰盛卋唾血飮食少思肌肉消瘦將成勞瓌白芍藥一錢三分當歸一錢二分熟地黃麥門冬白朮各一錢生地黃酒炒八分陳皮七分知母黃栢拄鹽水炒甘草灸各五分右犫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回春》 ◈음이 허..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23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 ◈治傷寒陰證頭痛身疼或寒熱往來蒼朮二錢厚朴陳皮藿香半夏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入門》 ◈상한음증 때 머리와 몸이 아프고 혹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후박, 귤껍질(陳皮), 곽향, 끼무릇(반하)..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22
사물탕(四物湯) ♣사물탕(四物湯)♣ ◈通治血病熟地黃白芍藥川芎當歸各一錢二分半右犫作一貼水煎服《局方》 ◈혈병을 두루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5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一方春倍川芎夏倍芍藥秋倍地黃..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21
단석고환(單石膏丸) ♣단석고환(單石膏丸)♣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잡병용약부(雜病用藥賦) - 화류(火類) 내용 ; 위(胃)에 화(火)가 있어 음식과 담(痰)이 정체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석고(石膏): 조제용법 ; 석고를 불로 구어서 화독을 제거한후 가루내어 환을 빚어서 녹두 크기로..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21
삼령백출고(蔘 白朮膏) ♣삼령백출고(蔘 白朮膏)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몀 ; 잡병편(雜病篇) 권팔(卷八) 옹저(癰疽) 내용 ; 노인(老人)이 옹저(癰疽)가 터진 후 구토(嘔吐)하고 음식을 못 먹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 삼령백출환(蔘 白朮丸) 삼령백출산(蔘 白朮散) 이두가지를 참조한..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21
연연진인탈명단(淵然眞人奪命丹) ♣연연진인탈명단(淵然眞人奪命丹)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내용 ; 일체의 등에 생긴 창(瘡), 음저(陰疽), 정창(丁瘡), 악창(惡瘡)과 이름 모를 종독(腫毒)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경분(輕粉): 1.875 g. 마자인(麻子仁): 11.25 g. 담..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20
두시병(豆豉餠) ♣두시병(豆豉餠)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내용 ; 창양종독(瘡瘍腫毒)이 남아 있을때 혹은 수렴되지 않았을때, 일체의 악창(惡瘡)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담두시(淡豆豉): 조제용법 ; 담두시를 가루내어 침과 섞어 병을 만들어 그위에 뜸을올려 구법을 시행한다(..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20
황련소독음(黃連消毒飮) ♣황련소독음(黃連消毒飮)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구성약재 감초(甘草): 2 g. 강활(羌活): 4.8 g. 고본(藁本): 2.8 g. 길경(桔梗): 2.8 g. 방기(防己): 2.8 g. 소목(蘇木): 1.6 g. 진피(秦皮): 1.6 g. 택사(澤瀉): 1.6 g. 황금(黃芩): 2.8 g. 황기(黃഑..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20
납반원(蠟礬元) ♣납반원(蠟礬元)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내용 ; 광물이나 돌로 된 약재로 인해 독(毒)이 올라 옹저(癰疽) 나력(瘰癧)등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명백반(明白礬): 75 g. 생 것을 사용한다. 조제용법 ; 방견옹저(方見癰疽) ..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9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 ◈治溫病及時令感冒葛根二錢白芍藥升麻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薑三瘳二煎服《局方》 ◈온병과 돌림감기(四時感冒)를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승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밑(총백) 2대..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