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원산(益元散) ♣익원산(益元散)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편명 ; 이(痢) 내용 ; 여름에 땀을 많이 흘리고 열(熱)이 많이 나며 갈증이 심하거나, 더위 먹어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구워서 분말로 만든다. 계부활석(桂府滑石): 225 g. 기름지고 하얀 ..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6
황금병(黃金餠) ♣황금병(黃金餠)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신집팔권(辛集八卷) 구성약재 황련(黃連): 황토(黃土): 조제용법 ; 건황토(乾黃土) 가루와 달인 황련즙(黃連汁)을 섞어 떡(餠)을 만들어 복용한다.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6
청량음자(淸凉飮子) ♣청량음자(淸凉飮子) ♣ 출처 ;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11세기) 편명 ; 권지십(卷之十) 치소아제질(治小兒諸疾) 구성약재 감초(甘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볶는다. 당귀(當歸):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노(盧)를 제거하고 술에 담근다. 대황(大黃):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5
지황원(地黃元) ♣지황원(地黃元)♣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일(卷一) 안(眼) 구성약재 감국(甘菊): 18.75 g. 결명자(決明子): 37.5 g. 강활(羌活): 18.75 g. 숙지황(熟地黃): 56.25 g. 계심(桂心): 18.75 g. 몰약(沒藥): 18.75 g. 방풍(防風): 18.75 g. 주사(朱砂): 18.75 g. 물에 거른다. 황련(黃..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5
육일산(六一散) ♣육일산(六一散)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권1(外集卷一),상한용약부(傷寒用藥賦),정상한(正傷寒) 내용 ; 중서(中暑)하여 몸에서 열이 나고 토하고 설사하며 적백(赤白)의 하리(下痢)를 하고 융폐(癃閉)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활..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5
익황산(益黃散) ♣익황산(益黃散) ♣ ◈治脾藏虛冷腹痛泄利陳皮一兩靑皮訶子肉甘草灸各五錢丁香二錢右爲末每二錢或三錢水煎服或犫五錢作一貼亦可一名補脾散《海藏》 ◈비장이 허랭(虛冷)하여 배가 아프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40g, 선귤껍질(청피), 가자육, 감초(닦은 것) 각각 2..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4
내복단(來復丹) ♣내복단(來復丹)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팔(券諸八) 고냉(痼冷) 내용 ; 복서(伏暑), 설사(泄瀉), 중서(中暑), 상성하허(上盛下虛)등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소석(消石): 37.5 g. 유황과 함께 분말내어 간다. 오령지(五靈脂): 75 g. 모래와 돌을 제거하고 볕에 ..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4
황기익황산(黃 益黃散) ♣황기익황산(黃 益黃散)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아이가 푸른색의 설사를 할 경우에 쓰이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굽는다. 감초(甘草): 1.875 g. 생 것. 백복령(白茯苓): 1.5 g. 백작약(白芍藥): 2.625 g. 인삼..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4
아교산(阿膠散) ♣ 아교산(阿膠散)♣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이(卷第十二) 비위(脾胃) 구성약재 감초(甘草): 0.375 g. 나미(糯米): 37.5 g. 마두령(馬兜鈴): 18.75 g. 서점자(鼠粘子): 0.375 g. 볶는다. 아교(阿膠): 56.25 g. 밀기울로 볶는다. 행인(杏仁): 7 개. 껍질과 뾰족한 부분을 제거..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4
전씨백출산錢氏白朮散 ♣전씨백출산錢氏白朮散♣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신집팔권(辛集八卷) 구성약재 감초(甘草): 7.5 g. 건갈(乾葛): 7.5 g. 곽향(藿香): 7.5 g. 목향(木香): 7.5 g. 백복령(白茯苓): 7.5 g. 껍질을 제거한다. 백출(白朮): 7.5 g. 노(蘆)를 제거한다. 인삼(人蔘): 7.5 g. 정향(丁香): 2 알(.. ^*^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2016.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