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 ◈其兼氣溫凉寒熱以胃應之其味甘辛鹹苦以脾應之 ◈약의 성질은 따뜻한 것, 서늘한 것, 찬 것, 열한 것이 있는데 다 같이 위(胃)에 작용한다. 그리고 맛에는 단것, 매운 것, 짠 것, 쓴 것이 있는데 다 같이 비(脾)에 작용한다. ◈黃妉人參..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 ◈氣之厚者陽中之陽氣厚則發熱 ◈냄새가 센 것[氣之厚者]은 양 가운데 양[陽中之陽]에 속한다. 그러므로 냄새가 센 것은 열이 나게 한다. ◈附子烏頭乾薑生薑良薑肉桂桂枝草豆埼丁香厚朴木香白豆埼益智川椒吳茱萸茴香縮砂玄胡索紅花神麴《東..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 ◈味之薄者陰中之陽也味薄則通 ◈맛이 약한 것[味之薄者]은 음 가운데 양[陰中之陽]에 속한다. 맛이 약한 것은 통하게 한다. ◈防風升麻羌活柴胡葛根威靈仙細辛獨活白芷桔梗鼠粘子藁本川芎蔓荊子秦埵天麻麻黃荊芥薄荷前胡《東垣》..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 ◈陽爲氣陰爲味陰味出下竅陽氣出上竅《內經》 ◈기(氣, 냄새)는 양에 속하고 미(味, 맛)는 음에 속한다. 음인 맛은 아래구멍[下竅]으로 나가고 양인 냄새는 윗구멍[上竅]으로 나간다[내경]. ◈味厚者爲陰薄爲陰之陽氣厚者爲陽薄爲陽之陰味厚則泄薄則通..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 ◈尋萬物之性皆有離合虎嘯風生龍吟雲起磁石引鐵琥珀拾芥漆得蟹而散麻得漆而湧桂得蔥而軟樹得桂而枯戎檩累卵獺膽分盃其氣象有相關感多如此類其理不可得而思之《序例》 ◈만물의 성질을 보면 서로 반대되는 것과 맞는 것(즉 離合)이 있다. 범이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 ◈黃帝曰有毒無毒服有約乎岐伯曰病有久新方有大小有毒無毒固有常制矣大毒治病十去其六常毒治病十去其七小毒治病十去其八無毒治病十去其九穀肉果菜食養盡之無使過之傷其正也《內經》 ◈황제(黃帝)가 “독이 있는 약과 독이 없는 약을 먹는 방법은 어..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 ◈病人服藥必擇人煎熬制度令親信恭誠至意者爲之煎藥汛器除油垢腥媐必用新淨㴿水爲上量水多少斟酌以慢火煎熬分數用紗濾去渣取淸汁服之無不效《東垣》 ◈환자에게 먹일 약은 사람을 택해서 달이게 하되 도덕을 지킬 줄 알고 친하여 믿을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근, 량, 되, 말[斤兩升斗] ♣근, 량, 되, 말[斤兩升斗] ♣ ◈古秤惟有銖兩而無分名今則以十黍爲一銖六銖爲一分四分成一兩十六兩爲一斤雖有子穀呢黍之制從來均之已久正爾依此用之《本草》 ◈옛날의 저울에는 오직 수(銖)와 량(兩)만이 있었고 분(分)은 없었다. 그런데 현재는 기장쌀(黍) 10알의 무게를 1수로,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12제(十二劑) ♣12제(十二劑) ♣ ◈藥有宣通補泄輕重澁滑燥濕此十者藥之大體而本經都不言之後人亦所未述遂令調合湯藥有昧於此至如宣可去壅卽薑橘之屬是也通可去滯卽通草防己之屬是也補可去弱卽人參羊肉之屬是也泄可去閉卽熖嵫大黃之屬是也輕可去實卽麻黃葛根之屬是也重可去怯卽磁石..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6
7방(七方) ♣7방(七方) ♣ ◈七方者大方小方緩方急方奇方偶方複方也《入門》 ◈7방에는 대방(大方), 소방(小方), 완방(緩方), 급방(急方), 기방(奇方), 우방(偶方), 복방(複方)이 있다[입문]. ◈君二臣三佐九卽大方也君一臣二卽小方也補上治上制以緩卽不厭頻而小乃緩方也補下治下制以急卽不厭頓而..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