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胃) ♣위(胃) ♣ ◈溫用丁香白豆埼草豆埼乾薑厚朴益智吳茱萸凉用石膏連翹滑石升麻乾葛天花粉梔子黃芩補用白朮山藥蓮實咯仁白扁豆人參黃妉縮砂瀉用巴豆大黃枳實芒硝厚朴牽牛子 ◈더운약으로는 정향, 백두구, 초두구, 건강, 후박, 익지인, 오수유를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석고,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비(脾) ♣비(脾) ♣ ◈溫用香附子縮砂薑桂木香肉豆埼益智藿香丁香附子凉用梔子黃連石膏白芍藥升麻連翹黃芩苦茶補用人參黃妉白朮茯巔陳皮半夏乾薑麥芽山藥瀉用巴豆三稜枳實赤芍藥大黃靑皮神麴山査子 ◈더운약으로는 향부자, 사인, 건강, 계피, 목향, 육두구, 익지인, 곽향, 정향, 부..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담(膽) ♣담(膽) ♣ ◈溫用橘皮半夏生薑川芎桂皮凉用黃連黃芩竹茹柴胡草龍膽補用當歸山茱萸酸棗仁五味子瀉用靑皮柴胡黃連木通芍藥 ◈더운약으로는 귤껍질(橘皮), 끼무릇(半夏), 생강, 궁궁이(川芎), 계지를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황련, 속썩은풀(黃芩), 참대속껍질(竹茹), 시호, 용담초(草龍..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간(肝) ♣간(肝) ♣ ◈溫用木香肉桂半夏肉豆埼陳皮檳峹禕撥凉用鱉甲黃芩黃連草龍膽草決明柴胡羚羊角補用木瓜阿膠川芎黃妉山茱萸酸棗仁五加皮瀉用靑皮芍藥柴胡前胡犀角秦皮草龍膽 ◈더운약으로는 목향, 육계, 끼무릇(半夏), 육두구, 귤껍질(陳皮), 빈랑, 필발을 쓴다. 서늘한 약..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소장(小腸) ♣소장(小腸) ♣ ◈溫用巴戟茴香烏藥益智凉用茅根通草黃芩天花粉滑石車前子補用牡蠣石斛甘草梢瀉用蔥白蘇子續隨子大黃 ◈더운약으로는 파극, 회향, 오약, 익지인을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띠뿌리(茅根), 통초, 속썩은풀(黃芩), 하늘타리뿌리(天花粉), 곱돌(滑石), 길짱구씨(車前子)를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심(心) ♣심(心) ♣ ◈溫用當歸芍藥吳茱萸肉桂蒼朮白朮石菖蒲凉用犀角生地黃牛黃竹葉朱砂麥門冬黃連連翹補用遠志茯神天麥門冬兎絲子人參金銀箔炒檩瀉用黃連苦參貝母前胡鬱金 ◈더운약으로는 당귀, 집함박꽃뿌리(芍藥), 오수유, 육계, 삽주(蒼朮), 흰삽주(白朮), 석창포를 쓴다. 서늘한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 ◈虛則補其母實則瀉其子假如肝乃心之母心虛當補肝脾乃心之子心實當瀉脾餘經倣此《難經》 ◈허(虛)하면 그 어머니격인 장기를 보(補)하고 실(實)하면 그 아들격인 장기를 사(瀉)해야 한다. 즉 간(肝)은 심(心)의 어머니격이므로 심이 허약할 때..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 ◈凡諸藥根在土者中半以上者氣怴上行以生苗者爲根中半以下者氣怴下行以入土者爲梢病在中焦者用身盖上焦用根下焦用梢者根升而梢降故也《東垣》 ◈모든 약뿌리[藥根]에서 흙 속에 있는 뿌리의 절반 위의 기운은 위로 올라가서 싹이..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 ◈味之厚者陰中之陰味厚則泄 ◈맛이 센 것[味之厚者]은 음 가운데 음[陰中之陰]에 속한다. 그러므로 맛이 센 것은 설사가 나게 한다. ◈大黃黃栢草龍膽黃芩黃連石膏生地黃知母防己茵蔯牡蠣瓜蔞根朴硝玄參山梔子川練子香栥地楡《東..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 ◈氣之薄者陽中之陰氣薄則發泄 ◈냄새가 약한 것[氣之薄者]은 양 가운데 음[陽中之陰]에 속한다. 그러므로 냄새가 약한 것은 발산시켜서 나가게 한다. ◈茯巔澤瀉猪巔滑石瞿麥車前子木通燈心五味子桑白皮白芍藥犀角天門冬..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