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약(相反藥) ♣상반약(相反藥) ♣ ◈相反爲害甚於相惡者謂彼雖惡我我無忿心猶牛黃惡龍骨而龍骨得牛黃更良此有以制伏故也相反者則彼我交讐必不宜合今盡家用雌黃胡粉相近便自椢妬粉得黃卽 黑黃得粉亦變此盖相反之證也《本草》 ◈상반약을 함께 쓰면 그 해로움이 상오약(相惡藥)을 함께 쓰..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 ◈凡藥不得見銅鐵氣者緣肝氣惡之也《得效》 ◈대체로 약에 구리와 쇠를 꺼려야 하는 것은 간기(肝氣)가 그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다[득효]. ◈黃栢地黃之類俱忌鐵器蒸搗何歟曰地黃黃栢皆腎經藥也錢仲陽曰腎有補而無瀉又曰虛者補其母實者瀉其子..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 ◈凡服藥不可多食生胡涿及蒜雜生菜又不可食諸滑物果實等又不可多食肥猪犬肉油媐肥羹魚膾腥爸等物服藥通忌見死尸及産婦淹穢等事《本草》 ◈약을 먹을 때에는 생고수(生胡 )나 마늘 등 여러 가지 생채(生菜)를 많이 먹지 말아..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 ◈引經藥太陽經手羌活足黃栢 ◈인경약(引經藥)은 다음과 같다.수태양경(手太陽經)의 인경약은 강호리, 족태양경(足太陽經)의 인경약은 황백이다. ◈太陰經手桔梗足白芍藥 ◈수태음경(手太陰經)의 인경약은 도라지, 족태음경(足太陰經)의 인..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삼초(三焦) ♣삼초(三焦) ♣ ◈溫用附子破故紙當歸熟地黃兎絲子吳茱萸茴香凉用知母草龍膽木通車前子地骨皮黃栢梔子補用人參黃妉乾薑甘草白朮桂枝益智瀉用黃栢梔子猪巔澤瀉赤茯巔大黃檳峹 ◈더운약으로는 부자, 파고지, 당귀, 찐지황(熟地黃), 새삼씨(兎絲子), 오수유, 회향을 쓴..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명문(命門) ♣명문(命門) ♣ ◈溫用附子肉桂破故紙茴香沈香烏藥乾薑凉用黃栢梔子柴胡知母滑石芒硝補用肉瘴蓉沈香黃妉肉桂兎絲子破故紙瀉用烏藥枳殼大黃芒硝黃栢梔子 ◈더운약으로는 부자, 육계, 파고지, 회향, 침향, 오약, 건강을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황백, 산치자(梔子), 시호, 지모,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방광(膀胱) ♣방광(膀胱) ♣ ◈溫用茴香烏藥肉桂沈香吳茱萸凉用生地黃防己黃栢知母滑石甘草梢補用益智菖蒲續斷瀉用車前子瞿麥滑石芒硝澤瀉猪巔木通 ◈더운약으로는 회향, 오약, 육계, 침향, 오수유를 쓴다. 서늘한 약으로는 생지황, 방기, 황백, 지모, 곱돌(滑石), 감초(잔뿌리)를 쓴다. 보하..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신(腎) ♣신(腎) ♣ ◈溫用沈香兎絲子附子肉桂破故紙栢子仁烏藥巴戟凉用知母黃栢牡丹皮地骨皮玄參生地黃補用熟地黃枸杞子鹿茸龜板五味子肉瘴蓉牛膝杜沖瀉用澤瀉茯巔猪巔琥珀木通 ◈더운약으로는 침향, 새삼씨(兎絲子), 부자, 육계, 파고지, 측백씨(柏子仁), 오약, 파극을 쓴다.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대장(大腸) ♣대장(大腸) ♣ ◈溫用人參薑桂半夏木香胡椒吳茱萸凉用黃芩槐花天花粉梔子連翹石膏補用楾粟殼五倍子牡蠣肉豆埼木香訶子瀉用芒硝大黃續隨子桃仁麻仁枳殼檳峹蔥白牽牛子 ◈더운약으로는 인삼, 건강, 계피(桂皮), 끼무릇(半夏), 목향, 후추(胡椒), 오수유를 쓴다. 서늘한 약으..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폐(肺) ♣폐(肺) ♣ ◈溫用陳皮半夏生薑款冬花白豆埼杏仁蘇子川椒凉用知母貝母瓜蔞仁桔梗天門冬片芩梔子石膏補用人參黃妉阿膠五味子天門冬沙參山藥鹿角膠瀉用熖嵫子桑白皮防風杏仁麻黃枳殼紫蘇葉 ◈더운약으로는 귤껍질(陳皮), 끼무릇(半夏), 생강, 관동화, 백두구, 살구씨(杏..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