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전 가편 |
처방명 |
한방해설 |
약재 |
만드는법 |
용법 |
가감위령탕 (加減胃笭湯) |
황달병으로 입맛이 없어 음식을 먹을 수 없고 모든 게 귀찮아 걷기조차 싫으며 맥은 껄끄러우면서 느릴 때 쓴다.
|
곽향, 반하, 대복피, 산사자, 나부자, 삼능, 봉출, 청피/각 2g 생강 3쪽, 대추 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전 공복에 복용한다. |
가감청비음 (加減淸脾飮) |
모든 학질에 사용한다. |
소시호탕에다 인삼양위탕을 더하고 복숭아 나뭇가지, 버드나뭇가지 /각 10cm, 생강 5쪽, 대추 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가미귀비탕 (加味歸脾湯) |
빈혈이나 불면증, 열이 나면서 진땀이 날 때, 신경을 너무 써 극도로 피곤할 때, 건망증, 깜짝깜짝 놀랄 때, 사지가 아플 때, 변비가 있을 때, 임파선 종창으로 몸에 열이 있는 증세 등을 다스린다. 응용으로는 건망증, 신경쇠약, 신경성 심계항진증, 열병회복기, 폐결핵, 월경이 막혔을 때, 연주창, 월경불순 등에 쓴다. 변향부자를 더해 쓰면 좋다.
|
귀비탕에다 산치자, 시호 각 4g을 더함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전 공복에 복용한다. |
가미대보탕 (加味大補湯) |
이 약은 왼쪽으로 온 중풍이나 오른쪽으로 온 중풍을 망라하여 기혈이 너무 모자라 온 허약 체질자를 다스린다. 뇌출혈이나 반신불수, 중추신경 및 지각 마비등의 양생 약으로 허약한 사람이라도 2~3제 복용하면 효험이 있다.
|
황기(꿀에 구운 것),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술에 씻은 것),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각 2.8g 오약, 우슬(술에 씻은 것), 두충(술에 담가 구운 것), 목과, 방풍, 강활, 독활, 의이인/각 2g 부자(포한 것), 심향, 목향, 육계, 감초/ 각 1.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가미사칠탕 (加味四七湯) |
담기가 울결되어 목구멍에 무엇이 막혀 있는 것 같으나 뱉으면 떨어져 나오지 않는 증세와 침이 넘어가지 않는 증세를 매해기라고 하는데 이를 다스린다. 응용으로는 기수, 경계, 기담, 칠정통, 노이로제 등 일체의 신경성 질환을 낫게 한다.
|
반하, 진피, 적복령/각 4g, 신곡, 지실, 남성(구운 것)/각 3g, 청피, 후박, 소엽, 빈랑, 사인/각 2g, 백두구, 익지인/각 1.2g, 생강 5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가미소요산 (加味逍遙散) |
가래침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세를 다스린다. 응용으로는 해수 기침에 피가 비칠 때, 피를 토할 때, 여자의 음호에 종기가 났을 때, 습열로 가려울 때 쓴다.
|
목단피, 백출/각 6g, 당귀, 적작약, 도인, 패모/각 4g, 산치자, 황금/각 3.2g, 길경 2.8g, 감초 1.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1시간에 복용한다. |
가미십전탕 (加味十全湯) |
종기가 터진 다음 기혈을 보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하며, 고름이 빠져 나가게 하고 새살이 다시 돋게 한다. 혹은 외과적 수술을 받은 자의 병후 회복제로도 쓰고, 이를 뺀 사람 또는 어린이의 이를 빨리 나게 하려는데 응용된다.
|
십전대보탕에다 진피, 오약, 오미자/각 3g을 더하면 가미십전탕이 된다.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가미온담탕 (加味溫膽湯) |
심장과 담낭이 약하여 사물을 접하면 잘 놀라고 담과 침이 상박하여 일으키는 증세를 다스린다. 응용으로는 신경쇠약, 노이로제 등에 쓴다. 기가 울하여 답답하면 소엽을 더해 쓰고, 잠이 오지 않을 때는 산조인을 더해 쓴다.
|
향부자 8g, 귤홍 5g, 반하, 지실, 죽여/각 3g, 인삼, 백복령, 시호, 맥문동, 길경/각 2.4g, 감초 1.6g, 생강 3쪽, 대추 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1시간에 복용한다. |
가미이진탕 (加味二陳湯) |
습담이 원인이 되어 유정된 증세를 다스린다. |
반하(강제), 적복령(약한 소금에 볶은것) 치자(검게 볶은 것), 진피, 백출, 길경, 승마(술에 볶은 것), 감초/각 4g 석창포 2.8g, 지모, 황백/각 1.2g, 생강3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
가미지패산 (加味芷敗散) |
여자의 젖몸살에 종기처럼 단단하게 뭉쳐 쑤시고 아릴 때 쓴다.
|
백지, 패모, 천화분, 금은화, 조각자, 천산갑(흙에 볶은 것), 과루인, 감초/각 4g
|
이상의 약재에 물과 막걸리를 각각 반 대접 정도씩 붓고 반이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1시간에 복용한다. |
가미팔진탕 (加味八珍湯) |
허약자의 태원(太原)을 장양(長養)한다. 습관성 유산벽이나 임신중에 태를 잘 보존해 주는 작용을 한다. 허가 심하면 인삼의 양을 늘려 쓰고, 두충, 속단, 상기생 등을 더해 쓴다. 임신 8개월째에는 대복피를 더해 쓰고, 9개월째에는 소엽을 더해 쓴다.
|
팔물탕 + 진피, 사인/각 4g, 해삼 10~20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
가미패독산 (加味敗毒散) |
발적, 화농, 종창을 나타내는 피부질환에 변비와 부종이 심하다. 오한, 발열, 두통이 있을 수 있다. 감기, 축농증, 습진, 두드러기, 피부발진 화농성피부염. 인체의 저항력이 약한데다, 체력도 저하된 사람이, 변비가 있으면서 감기나 신우신염이나 간염 등의 염증에 이환되어 항원항체반응이 만성적으로 지속되어 한열(寒熱)이 왕래하거나 열이 심하고 대변, 소변이 불리하며 발적, 화농, 종창의 증상을 나타낼 때: 체력과 면역능력을 증강,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염증을 개선, 변비를 완화하여 혈액을 정화, 이뇨를 촉진하여 신우신염으로 인한 부종을 개선, 간기능력을 강화 발적, 화농, 종창의 증상이 나타나는 피부염, 피부알러지에 변비와 부종을 개선하고, 면역능력을 증강 [참고]: 족삼양경(足三陽經)은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으로서, 신장(腎臟), 대장(大腸), 간장(肝臟)이 관계되는 경락이므로 간염, 변비, 신염 등의 증상들이 본 방과 관계됨.
|
강활, 독활, 전호, 시호, 복령, 지각, 감초, 천궁, 대황, 창출, 인삼, 길경/각 3g, 생강 3편
인삼, 복령, 감초: 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하여 체력을 강화 지각, 대황: 변비를 개선 길경: 항균, 배농작용 복령, 생강, 창출, 지각: 이뇨작용을 하여 신장염으로 인한 부종을 개선 강활, 독활: 염증 국소에 혈액순환촉진작용과 진통, 소염작용 대황, 전호: 염증으로 인한 혈전에 항혈전작용 시호, 대황: 간기능력을 강화 시호, 전호, 지각, 감초: 항알러지작용 전호, 길경: 진해 거담작용
|
|
|
갈근탕 (葛根湯) |
목과 등허리가 당기고 오슬오슬 춥고, 땀이 나지 않고 바람기가 싫은 감기 증세가 나타나며, 추위를 싫어하고 열이 나며 충혈 증세가 있고, 땀이 나지 않고 몸과 등이 뻣뻣한 감기에, 또한 눈 ·귀 ·코에 염증이 있을 때나 두드러기 ·천식 등의 증세에 처방한다.
|
갈근(葛根) 12.0 / 마황(麻黃) 6.0 / 생강(生薑) 6.0 / 대추(大棗) 6.0 / 감초(甘草) 4.0 / 작약(芍藥) 4.0 / 계지(桂枝) 4.0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
갈근해기탕 (葛根解肌湯) |
이 약은 양명위 경락에 이상을 일으킨 증세에 쓰이기 때문에 눈알이 아리고 코가 마르며 누워 있을 수가 없는 자, 맥은 넓고 빠르거나 미약하지만 빨리 뛰는 경우에 쓴다. 감모나 유행성 감기 또는 기타 열병, 습진, 옻이 오른 데 등에 주로 쓴다.
|
갈근, 시호 황금, 적작약, 강활, 석고, 승마, 백지, 길경/각 4g, 감초 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식간에 하루 3회복용.약복용후 몸을 덥게 하여 땀을 내면 몸이 풀림.
|
감길탕 (甘桔湯) |
소음병의 객한 때문에 목이 아픈 증세를 다스린다. 폐열구신, 인후통, 후비실음, 소아 홍역 등에 응용된다. 서점자와 죽여 4g을 더해 쓰면 더욱 좋다.
|
감초 10g, 길경 6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복용한다. |
감응환 (感應丸) |
오래된 이질, 피고름 같은 배변을 볼 때, 너무 찬 음식이나 날 것을 먹어 토사 곽란이 일어난 증세를 다스린다. |
정향, 목향/각 100g, 백초상 80g 행인(껍질 벗긴 것) 140개, 육두구 20개 건강(구운 것)40g, 파두(기름뺀 것)70개
|
먼저 청유 40ml를 끓이다가 밀랍 160g을 녹인 다음, 위의 약재를 넣어 잘 반죽한다. 그리고 나서 1알의 무게가 4g이 되도록 만든다.
|
1일 1회 1알을 미음으로 공복에 복용하거나 녹두대로 만들어 10알씩을 끓인 물로 복용해도 된다.
|
강다탕 (薑茶湯) |
적백, 이질의 냉*열을 불문하고 이질의 복통이나 기생충에 감염된 오색의 이질 설사에 쓰며, 혹은 여름철의 열독이나 술에 상했을 때 주독을 풀어 준다. 뒤가 묵직할 때는 빈랑, 목향 가루 혹은 흑축가루를 타서 마신다.
|
생강, 춘다 각 같은 양 |
이상의 약재를 주전자 같은 큰 그릇에 적당한 물을 부어 차를 끓이듯 달인다. |
시간에 관계없이 차마시 듯 하면 된다. |
강활유풍탕 (羌活愈風湯) |
중풍이 장부에 들었을 때는 먼저 소풍탕 몇 첩을 써 본 다음 이 약으로 바꿔 쓴다. 이 약은 장부나 피부의 사가를 풀어 준다. 그러므로 이 약은 모든 경락을 풀어준 다음 간장이나 신장의 허한 것을 고치고 음양의 기운을 고르게 해 준다. 오래 먹으면 모든 중풍이 사라져 생기를 되 찾을 수 있다. 류머티즘성 관절염이나 신경통에도 쓰는데, 이 약의 성질은 거풍 순기 작용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너무 허한 자는 쓰지 말아야 한다.
|
창출, 석고, 생지황/각 3g, 방풍, 강활, 당귀, 만형자, 천궁, 세신,황기, 지각, 인삼, 마황, 백지, 감국, 박하,구기자, 시호, 지모, 지골피, 감초/각 1.6g, 독활, 두충, 진교, 황금, 백작약, 육계/각 0.8g
|
이상의 약재를 약탕기에 넣어 물 한 대접을 부은후 1~2시간 가량 달여 반 대접이 되게 한다. |
이 약은 아침과 저녁에 복용하는데 몸을 덥게 하면 효험이 빠름 |
개결서경탕 (開結敍經湯) |
여자의 칠정과 육울 때문에 경락에 기가 정체되어 손과 발이 마비를 일으킨 경우에 쓴다. 손과 발이 마비된 데는 위령선, 우슬, 목과, 부자 약간을 더해 쓴다.
|
소엽, 진피, 향부자, 오약, 천궁, 창출, 강활, 남성, 반하, 당귀, 계지, 감초/각 1.6g 생강 3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2~3회 식후 1시간에 죽력과 생강즙을 함께 복용한다.
|
개기소담탕 (開氣消痰湯) |
흉중의 위완과 목이 좁아지는 것 같으면서 아픈 증세와 손과 발에 크고 작은 멍울 같은 게 생겨 아프기도 하고 아프지 않기도 한 것을 낫게 한다.
|
길경, 변향부자, 백강잠(볶은 것)/각 4g, 진피, 편금, 지각/각 3g, 전호, 반하, 지실, 강활, 형개, 빈랑, 사간, 위령선/각 2g, 목향, 감초 1.2g, 생강 3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거원전 (擧元煎) |
허기가 지나쳐 하혈을 하거나 혈탈된 증세, 당귀와 숙지황이 적용되지 않는 기허 증세를 다스린다. 빈혈, 소기, 하혈증 등에 쓴다.
|
인삼, 황기(불에 구운 것)/각 12~20g, 감초, 백출(불에 볶은 것)/각 4~8g, 승마(불에 볶은 것) 2~3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
건리탕 (建理湯) |
비위가 허약할 때, 적취가 있어 틀어오를 때, 비장을 튼튼하게 할 때 쓰는데 진피와 청피를 더해 쓰면 치중탕이 된다.
|
인삼 12~20g, 건강(구운 것), 계지/각 8g, 백출, 백작약(술로 노랗게 볶은 것)/각 4g, 감초(구운 것) 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2시간에 복용한다. |
견정산 (牽正散) |
이 약은 구안와사라 하여 시골 같은 곳에서 다듬잇돌이나 문턱 같은 것을 베고 잠을 잤거나,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에서 창을 열고 달렸거나, 에어컨 바람 같은 것을 너무 많이 쐬었을 때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갑자기 찬바람을 많이 쐬었을 때 경혈에 이상이 생겨 안면신경이 마비되거나 입이 삐뚤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때 이 약을 쓰면 잘 낫는다.
|
백부자, 백강잠, 전갈을 모두 생으로 같은 양을 씀 |
이상의 약재를 몽근 가루로 만든다. |
몽근 가루로 만든 약가루를 1일 3회 3~7g씩 더운 술로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경옥고 (瓊玉膏) |
이 약을 만들 때는 닭우는 소리, 개짖는 소리가 들리지 않아야 하고 부인이나 상복입은 사람을 보아서도 안 된다. 이 약의 특성으로는 허약해진 정수를 채워 주고 머리를 검게 하며, 빠진 이를 다시 나게 하고 백병을 물리친다. 허로와 노수와 옹환을 다스리고 수명을 늘려 준다. 다른 방법으로는 호박과 심향 20g을 더한 것도 있다. 이 약에다 천문동, 맥문동, 구기자 각 600g을 더하면 익수영진고가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천문동, 맥문동, 지골피 각 300g씩을 더한 것도 있다. 인삼양위탕에 건강, 계지 각 8g을 더하면 계강양위탕이 된다.
|
생지황(즙을 낸 것) 10kg, 인삼가루 1kg, 백복령가루 3kg, 흰꿀 6kg
|
이상의 약을 옹기 항아리에 넣고 기름종이 5겹과 두꺼운 헝겊 1겹으로 구멍을 단단히 봉한 다음, 이것을 구리솥에 넣어 그 사이에다 물을 부어 뽕나무 불로 3주야를 끓인다. 만약에 물이 줄어들면 더운 물로 계속 부어가면서 끓이다가 시간이 다 되면 항아리를 꺼내어 밀랍을 칠한 한지로 항아리 구멍을 다시 막는다. 이것을 우물 속에 1주야 동안을 매달아 두었다가 끌어올려 구리솥에 넣어 1주야를 다시 끓이면 비로소 약이 된다.
|
이 약을 복용하기 전에 약을 조금 꺼내 천지신명에게 기도를 드린 다음 1일 3회 1회에 한 숟가락씩 더운 술로 복용하는데, 만약에 술을 먹을 수 없는 사람은 더운 물로 복용한다.
|
계지가용골모려탕 (桂枝加龍骨牡呂湯) |
失精한 남자는 아랫배가 땡기고, 음경의 끝이 차고(寒), 어지럽고 머리카락이 잘 빠지고,脈이 극도로 허약하고 느리며, 섭취한 곡식을 소화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설사하고 빈혈이 있으며 정력이 弱하다. 脈이 모두 허풍선이 같으면서 약간 긴장된 사람은 남자는 失精되고 여자는 夢交를 하게 된다. 뇌신경쇠약(腦神經衰弱)으로 인한 피로감. (소건중탕증의 피로감은 저혈당증에서 비롯된다.) 성적(性的)신경쇠약과 건망증, 자율신경 실조증의 증상을 나타내어 불안, 심계항진, 불면, 다몽(多夢) 등이 나타난다. 머리카락이 잘 빠진다. 곡식이 소화되지 않고 그대로 설사와 함께 나온다. 아랫배의 근육이 긴장되어 있다.(少腹弦急) 신체가 여위고 윤기(潤氣)가 없으며 어지러움증이 있고 사지권태(四肢倦怠), 구순건조(口脣乾燥), 아랫배가 땡겨서 뻣뻣하다. 성적(性的)신경쇠약, 몽정(夢精), 몽교(夢交).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그냥 나온다. 머리카락이 잘 빠지거나 비듬이 많은 사람으로 피로감이 심하고 상기(上氣)가 잘 된다.(탈모증, 禿頭病) 신경쇠약, 불면증, 노이로제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또 건망증(健忘症)이 심할 때. 야뇨증(夜尿症), 전립선비대증, 소아야체증(少兒夜涕症), 마음이 불안정하고 동계(動悸), 잘 놀라는 증상에. 부인들의 월경불순, 다몽(多夢), 건망증(健亡症)에. 시험 점수가 갑자기 이유 없이 떨어지는 수험생은 주로 성적(性的)인 문제가 많이 관련되므로 본 방증이 많이 나타난다. 갑상선기능력항진(甲狀腺機能亢進)환자에 본방증이 많다.
|
계지, 작약, 대추, 생강, 모려, 용골/각 6g, 감초4g
용골, 모려: 칼슘을 공급하여 아세틸콜린의 합성을 촉진하므로 써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신경을 안정시키고, 불면증상을 개선한다. 또 칼슘이 장(腸)운동을 강화하여 설사증상을 개선 계지: 혈관을 확장하여 혈류를 느리게 함으로써 한출(汗出)을 완화 대추, 작약: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발한(發汗)을 억제
|
|
|
계지작약지모탕 (桂枝芍藥知母湯) |
모든 마디마디가 아프며 몸이 앙상하게 마르고 다리가 부어서 빠질 듯이 아프고 숨이 차며 속이 메슥거려 토하고 싶을 때 계지작약지모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1. 평소에 심장 기능력이 약한 사람이, 면역능력이 저하되어, 관절에서의 만성적인 항원 항체 반응과 관절 연골의 노화로 관절 연골이 파괴되거나 관절의 영양이 부족하여 관절이 퇴행되어 있는 퇴행성 관절 질환에 관절에 영양을 공급, 관절 세포의 면역능력을 증강 2. 관절의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관절활막에 부종이 심하거나 결합조직이 비후(肥厚)되어 있는 관절류머티스 또는 만성 관절염에 ; 관절활막의 부종을 억제하고 결합조직의 비후(肥厚)를 개선, 항균 작용, 해열 진통작용을 하여 관절의 통증을 경감
바짝 마르고, 여윈 사람이 사지 관절 혹은 어느 한 개의 관절이 붓고, 통증을 호소한다. 심장이 약하여 숨이 차고 속이 느글느글 하면서 토할 것 같다. 관절이 퇴행되어 굽으면서 기형이 된다.
퇴행성 관절염, 관절류마치스, 관절염에 요통(腰痛)과 학슬풍이 있으면서 뼈마디가 빠져나갈 것 같이 아플 때, 학슬풍이 아니더라도 관절이 붓고 아프고 기상충(氣上衝)이 있을 때
|
백출 10g, 계지, 지모, 방풍/각 8g, 백작약 6g, 마황, 감초/각 4g, 포부자 2g
부자, 방풍, 지모: 진통 작용 백출, 계지, 지모, 마황, 방풍: 이뇨작용을 하여 피하 부종, 관절의 부종을 완화 부자, 계지, 마황: 면역능력을 강화하여 염증을 빨리 개선 계지, 지모, 방풍: 해열 작용 계지. 작약, 마황, 방풍: 발한(發汗)을 촉진하여 피하 부종을 개선 부자, 계지, 백출: 관절에 영양을 공급 방풍, 지모, 작약: 항균작용을 하여 관절의 염증을 완화
|
|
|
고암심신환 (古庵心腎丸) |
선천적으로 허약한 사람이나 지나친 과로 때문에 신장과 심장이 함께 허약해서 열이 나고 깜짝깜짝 놀라거나 유정이 있고, 식은땀이 나면서 눈이 어둡고 귀가 울리고 허리가 아프면서 다리에 힘이 없는 증세를 낫게 한다. 응용으로는 허로증, 심장이 약할 때, 밭은 기침을 할 때, 폐결핵, 유정이나 몽정을 하는 증세에 쓴다.
|
숙지황, 생건지황, 백복신/각 120g, 당귀, 택사, 황백(소금이나 술에볶은것)/각 60g, 산수유, 구기자, 구판(버터에 구운 것), 우슬, 황련, 목단피, 녹용(버터에 구운 것)/각 40g, 생감초 20g, 주사 40g
|
이상의 약재를 고운 가루로 만들어 꿀로 오동씨 크기만한 환약을 만들고 주사로 옷을 입힌다.
|
1일 3회 공복시에 소금물이나 따뜻한 청주로 1회에 50~100알씩 복용한다. 환약을 만들 수 없을 때는 이상의 약재가 탕약 10첩의 분량이다.
|
고진음자 (固眞飮子) |
음과 양이 모두 허해져 기와 혈이 부족하여 음식을 보아도 먹고 싶은 생각이 없고 몸에서 열이 났다 미열이 났다 하면서 속이 메슥거리며, 식은 땀을 흘리면서 걸음을 걸을 때도 활기가 전혀 없는 경우와 설사를 하는데 맥이 너무 약하고 기침을 심하게 하면서 폐결핵이 되려는 사람에게 주로 쓴다. 또 기혈이 부족한 노인이나 늑막염, 폐결핵, 만성 기관지염 같은 것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도 쓴다. 허증이 심한 사람에게는 인삼과 숙지황을 양을 배로 하고, 허냉한 사람에게는 황백을 빼고 계피와 부자를 더해 쓴다.
|
숙지황 6g, 산약, 인삼, 당귀, 황기(꿀에 볶은 것), 황백(소금에 볶은 것)/각 4g, 진피, 백복령/각 3.2g, 두충(볶은 것), 감초(구운 것)/각 3g, 백출, 택사, 산수유, 파고지(볶은 것)/각 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약을 먹은 다음에는 목욕이나 사우나는 하면 안된다.
|
곤담환 (滾痰丸) |
습열로 적담이 되어 백 가지의 병을 일으키는 데 좋다. 특히 경담에 특효가 있는 약이다.
|
대황(술에 찐 것), 황금/각 320g, 청몽석(청몽석 40g을 함초 40g과 함께 작은 항아리에 넣고 뚜껑을 덮어 소금을 섞어 진흙으로 막아 불에 달군 다음 식은 후에 꺼내는데, 이때에 청몽석은 금색을 띠어야만 약이 만들어진 것이다), 심향 20g
|
이상의 약재를 고운 가루로 만들어 꿀로 오동씨 크기만한 환약을 만든다.
|
차나 맑은 물로 복용하되 반드시 잠을 자기 전에 복용하여 약 기운이 목구멍과 가슴 사이에 머물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주사로 옷을 입힌 것도 있다.
|
공연단 (控延丹) |
담음이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아픈 증세를 낫게 한다.
|
감수, 대극, 백겨자 각 같은 양
|
이상의 약재를 고운 가루로 만들어 오동씨 크기만한 환약을 만든다. 경담에는 주사를 입히고 몹시 아플 때는 전갈을 더하며, 윗팔이 아플 때는 목별자와 계심을 더한다. 경담이 덩어리가 되었을 때는 천산갑, 별갑, 현호색, 봉출을 더한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7~10알씩 생강차나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
공진단 (供辰丹) |
선천적으로 허약한 자를 다스린다. 天元一氣를 굳게 하면 물은 올라가고 화는 끌어내려 백병이 생기지 못하게 하는 원리이다. 응용으로는 허로, 간허, 밭은 기침 등에 쓴다. 인삼과 숙지황을 더하면 더 좋고, 냉한 자는 육계와 부자를 더하며, 기침병에는 귤피, 패모, 오미자를 더하고, 사향을 구할 수 없을 때는 심향이나 목향으로 대신해도 된다.
|
녹용(버터로 구운 것), 당귀, 산수유/각 120g 사향 20g
|
이상의 약재를 고운 가루로 만든 다음 술을 섞어 밀가루풀로 오동씨 크기만한 환약을 만든다.
|
1일 3회 따듯한 술이나 소금물로 1회에 70~100알까지 복용한다.
|
과루지실탕 (瓜蔞枳實湯) |
담(가래)이 단단히 뭉쳐 가슴이 벅차 답답한 증세를 낫게 한다.
|
과루인, 지실, 길경, 적복령, 패모, 진피, 편금, 치자/각 4g, 당귀2.4g, 사인, 목향/각 2g, 감초1.2g, 생강즙 반 숟가락, 죽력 5숟가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1~2시간 정도 달여 반이 되게 한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
과부탕 (果附湯) |
비장이 차가운 학질로 얼굴이 파리해 보이면서 오들오들 떠는 증세를 다스린다.
|
초과, 부자(불에 구운 것)/각 8g, 생강 3쪽, 대추 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에 복용한다.
|
교감단 (交感丹) |
모든 기의 울체를 풀고 수화를 승강시킨다.
|
향부자 600g, 복신 150g |
이상의 약재를 곱게 빻아 꿀로 탄환 크기의 환약을 만든다.
|
1일 3회 식후에 복용하는데, 1회에 1알씩 강기탕으로 복용한다. 강기탕은 향부자, 복신, 감초 각 4g을 달인 물이다.
|
교밀탕 (膠蜜湯) |
허약한 사람이나 노인의 변비를 다스린다.
|
꿀 1숟가락, 파밑 흰뿌리 3쪽 |
이상의 약재를 끓여 아교 8g의 약물에 녹여 만든다. 빈랑 가루를 함께 타 마시기도 한다.
|
1일 3회 식전 공복에 빈랑가루를 타 마시거나 그냥 마신다.
|
교애궁귀탕 (膠艾芎歸湯) |
임신 8~9개월째에 수술이나 낙태를 한 뒤에 하혈이 있는 증세를 다스린다. 두충이나 인삼, 속단, 백출을 더하면 더욱 좋다.
|
아교, 애엽, 천궁, 당귀 각 8g, 감초(구운 것)4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전 공복에 복용한다.
|
교애사물탕 (膠艾四物湯) |
배가 아플 때 쓰는 약이다. 교애궁귀탕과는 용도가 다른데, 복통을 수반하는 하혈증에 쓴다.
|
숙지황, 당귀, 천궁, 백작약, 아교주, 조금, 백출, 사인, 애엽, 향부자(볶은 것)/각 4g, 찹쌀 한 주먹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
구미강활탕 (九味羌活湯) |
계절에 관계없이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며 오한이 들지만, 땀이 나지 않고 뼈마디가 쑤시고 아프면서 부맥이 빨리 뛰는 증세를 다스린다. 이 약은 마황탕의 대용 처방인데 태양병에 땀이 나지 않는 증세에는 마황탕을 쓰고 땀이 나는 증세에는 계지탕을 쓴다. 파상풍에도 쓴다.
|
강활, 방풍/각 6g, 천궁, 백지, 창출, 황금, 생지황/각 5g, 세신, 감초/각 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1시간에 복용한다.
|
구미신공산 (九味神功散) |
천연두를 앓은 다음 독기가 극성하여 붉은 핏빛 한 점이 번진 것처럼 실혈되었고 토사 7일 이전의 모든 증상에 쓰면 해독된다. 응용으로는 허중유실자의 두진 해독을 할 때 쓴다.
|
황기(꿀에 볶은 것), 인삼, 백작약(술에 적셔 볶은 것), 생지황(술에 씻은 것), 차초용, 홍화, 서점자/각 4g, 전호, 감초/각 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해독이 될 때까지 수시로 복용한다.
|
구미청심원 (九味淸心元) |
이 약은 심장이나 가슴속의 열과 가슴 윗부분의 열을 다스리는 약이다. 신경성 고혈압에 매우 효과가 있다.
|
포황 100g, 서각 80g, 황금 60g, 우황 48g, 영양각, 사향, 용뇌각/각 40g, 석웅황 32g, 금박 1200박
|
이상의 약재를 몽글게 잘 빻아 끓인 꿀로 반죽하여 무게 1.3g정도가 되는 환약을 만들어 금박 1200박 중에 400박으로 잘 싼다.
|
1일 3회 환약 1알씩을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증세가 나아지면 복용을 그만둔다.
|
구선왕도고 (九仙王道羔) |
이 약은 정신을 맑게 하고 원기를 증진시키며 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음식을 당기게 하며, 허손을 회복시켜 주고 기육을 기르고 습열을 없애 준다.
|
연육, 산약(볶은 것), 백복령, 의이인/각 160g, 맥아(볶은 것), 백편두(볶은 것), 검인/각 80g, 시상 80g, 사탕 800g
|
이상의 약재를 고운 가루로 만들어 쌀가루 2.5kg을 넣고 시루떡을 만든다.
|
구원심신환 (究原心腎丸) |
허로가 심할 때의 보약인데 부화가 부제하여 잘 놀라고 식은 땀을 흘리며 적색이나 백색의 대하증이 있는 여자 등을 낫게 한다. 응용으로는 심장이 약한 자, 음과 양 모두가 허한자, 성적 신경 쇠약으로 방사불능자 등에게 쓴다.
|
토사자(술에 담갔던 것) 120g, 우슬, 숙지황, 육종용, 녹용, 부자(구운 것), 인삼, 원지, 백복신, 황기, 산약, 당귀, 용골, 오미자/각 40g
|
이상의 약재를 고운 가루로 만들어 술에 담갔던 토사자를 술에 끓여 약가루를 합해 오동씨 크기만한 환약을 만든다.
|
1일 3회 공복에 복용하는데 반드시 대추를 차처럼 끓인 물로 1회에 70~90알씩 복용한다.
|
국노고 (國老高) |
모든 종류의 옹저에 응용하는데 특히 현옹을 낫게 한다. 종기의 독기를 풀어 종기를 삭아 없어지게 하고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일종의 진통 소염약이다.
|
대감초 대절 |
썰지 않은 감초를 12cm로 잘라 깨끗한 계곡물 200ml정도를 붓고 불을 세게 했다 약하게 했다 하면서 은근히 물에 잠기도록 하여 아침부터 오정 때까지 달이면 물은 졸고 감초는 마르게 된다. 그때에 다시 물을 부어 물이 졸아들 정도가 되면 감초를 잘게 썰어 좋은 술 0.6l 정도를 부처 300ml가 될때까지 달인다.
|
1일 2~3회 공복에 복용한다.
|
궁귀별갑산 (芎歸鱉甲散) |
오래된 학질을 다스린다.
|
별갑 8g, 천궁, 당귀, 적복령, 적작약, 반하, 진피, 청피/각 4g, 생강 3쪽, 대추 2개, 매실 1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궁귀탕 (芎歸湯) |
산전, 산후의 모든 빌병과 피가 모자라 현기증을 느낄 때, 인사불성일 때, 아이를 꺼꾸로 난산했을 때, 태가 내리지 않을 때, 출산을 하였는데 피가 멎지 않을 때 이 약을 쓰면 악혈이 모두 쏟아진다. 산모의 기침, 임신중의 분비물이 흘러내릴 때, 여자의 음경이 빠져나왔을 때, 변비 등에 응용된다.
|
당귀, 천궁/각 20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시간에 관계없이 수시로 복용한다.
|
궁소산 (芎蘇散) |
임신한 여자가 감기 몸살을 앓아 머리가 아프고 열이 올랐다 내렸다 하면서 기침이 나는 증세를 낫게 한다. 제생방에는 황금과 전호가 없다.
|
황금, 전호, 맥문동/각 4g, 천궁, 진피, 백작약, 백출/각 3.2g, 소엽 2g, 갈근 2g, 감초 1.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궁하탕 (芎夏湯) |
水毒을 뚫고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한다. 응용으로는 물이 적이 되었을 때, 잘 놀랄 때, 담으로 가슴이 아플 때, 담으로 허리가 아플 때, 담으로 배가 아플 때 주로 쓴다. 담이 결리는 데는 백부자와 향부자를 더해 쓰고, 냉담에는 건강, 계피, 회향을 더해 쓰며, 해수에는 패모, 행인을 더해 쓰면 좋다.
|
천궁, 반하, 적복령/각 4g, 진피, 청피/각 2g, 지각, 백출, 감초(구운것)/각 0.3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
궁신도담탕 (芎辛導痰湯) |
담궐 두통증이 있어 발작시에는 두 볼이 파랗게 되거나 노랗게 되면서 토할 것 같고 눈을 뜰 수 없을 정도로 어지러운 증세를 다스린다. 열담으로 맥이 빨리 뛸때는 황금과 황련을 더해 쓰고, 아파서 참을 수 없으면 전갈과 유향가루 1.2g을 타 마시면 좋다.
|
반하 8g, 천궁, 세신, 남성(구운 것), 진피, 적복령/각 4g, 지각, 감초/각 2g, 생강 3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에 복용한다.
|
귀비탕 (歸脾湯) |
지나친 생각과 근심 때문에 심장과 비장을 상해 건망증이 생기고 깜짝깜짝 잘 놀라며, 유정증이 있는 증세를 다스린다. 혹은 음식을 먹지 못하고 활동하기 싫어 자리에만 누워 있기를 좋아하고, 신경만 썼다 하면 몸에서 열이 나며, 몸의 사방 모두가 아픈 사람이나 대변이 고르지 못한 사람, 혹은 월경불순이 있는 사람 등에 쓰이는 약이다. 응용으로는 신경쇠약, 건만증, 불면증, 노이로제, 신경성 심계항진증, 유정, 위무력증, 위하수증, 빈혈증, 너무 지쳤을 때, 피를 토할 때, 코피를 흘릴 때,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 자궁출혈, 월경불순, 울화병으로 월경이 나오지 않을 때, 여자의 음경이 빠져 나왔을 때, 습으로 몸이 가려울 때, 대하증, 얼굴이 푸석푸석할 때, 경부임파선, 결핵 등에 두루 쓴다. 허화로 피를 토할 때는 숙지황 20~28g, 건강(검게 태운 것) 4~8g을 더해 쓰고, 월경도 아닌 하혈이 오래된 사람은 인삼의 양을 배로 하고, 지유, 승마, 형개, 방풍 등을 더해 쓰며, 밤잠을 이루지 못할 때는 숙지황 20~28g을 더해 쓰면 좋다.
|
당귀, 용안육, 산조인(볶은 것), 원지, 인삼, 황기, 백출, 백복신/각 4g, 목향 2g, 감초 1.2g, 생강 3쪽, 대추 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귀출파징탕 (歸朮破徵湯) |
월경이 나오지 않고 뱃속에 단단한 적덩어리가 있어 동통을 호소할 때, 핏덩이가 뭉쳐 있는 증세를 다스린다.
|
향부자(초에 볶은 것) 6g, 적작약(삼릉, 봉출을 함께 초에 볶은 것), 적작약, 백작약, 당귀미, 청피/각 4g, 오약 2.8g, 홍화, 소목, 육계/각 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전 공복에 복용한다.
|
귤피일물탕 (橘皮一物湯) |
기가 막혀 통하지 않거나 기가 뭉쳤을 때 주로 쓴다.
|
귤피 38g
|
이상의 약재를 깨끗한 물로 잘 씻은 후 달인다.
|
시간에 관계없이 차처럼 수시로 마신다.
|
귤피전원 (橘皮煎元) |
비장과 신장이 모두 허약하여 음식을 먹지 못할 때, 살이 여위어 허약할 때, 오래된 학질이나 오래된 이질을 다스린다. 약재 중에 양기석은 피를 말릴 염려가 있으므로 빼고, 인삼과 숙지황을 배로 늘려 쓰면 더욱 좋다. 이 방법은 남원 사람 임응회의 처방이다.
|
귤피 200g, 감초 120g, 당귀, 비해, 육종용, 오수유, 후박, 육계, 양기석, 파극, 석곡, 부자(불에 구운 것), 토사자, 우슬, 녹용, 두충, 건강/각 40g
|
이상의 약재를 고운 가루로 잘 빻아 약주 1l를 자기에 넣은 다음 귤피가루를 먼저 넣어 달이다 엿물처럼 되면 다른 약가루를 마저 넣고 고루 저은 후 잘 버무려 오동씨 크기만한 환약을 만든다.
|
1일 3회 정도를 복용하는데, 1회에 50~70알씩 따뜻한 약주나 소금물로 복용한다. 환약 만들기가 번거로우면 20첩으로 나누어 탕제해도 상관없다.
|
귤피죽여탕 (橘皮竹茹湯) |
위기가 허하여 옆구리에서 열이 나면서 나오는 기침이나 어린이의 백일 기침을 낫게 한다.
|
죽여 16g, 귤피 12g, 인삼 8g, 감초 4g, 생강 5쪽, 대추 2개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에 약을 따뜻하게 하여 복용한다.
|
귤핵환 (橘核丸) |
네 가지의 퇴산을 다스리는데 고환이 부어 양쪽의 크기가 다르거나 돌처럼 굳거나 아랫배가 틀고 아프거나, 심한 경우는 헐어서 노란 진물이 나오는 증세를 다스린다. 오래된 증상에는 붕사 8g을 더해 쓰면 효과적이다.
|
귤핵(볶은 것), 해조(소금과 술에 볶은 것), 곤포(소금과 술에 볶은 것), 해대(소금과 물에 볶은 것), 도인(살짝 볶은 것), 천련자(볶은 것)/각 4g, 현호색, 호박, 지실, 계심, 목향, 목통 각 20g
|
이상의 약재를 고운 가루로 만들어 술을 섞은 쌀죽으로 오동씨 크기의 환약을 만든다.
|
더운 술이나 소금물로 1회 60~70알씩 공복에 복용한다.
|
금궤당귀산 (金櫃當歸散) |
임산부가 계속 먹게 되면 피가 맑아지고 많아지며, 습관성 유산벽이 있는 사람이 복용하면 유산벽을 고치고 아이를 순산하게 되고, 태아에게는 태독이 없고 태어난 다음에는 머리가 좋고 지혜로워진다.
|
황금, 백출, 당귀, 천궁, 백작약/각 40g
|
이상의 약재를 고운 분말로 만든다. 탕제로 달여 먹어도 상관없다.
|
1일 2회 4~10g씩 더운 술이나 물로 복용한다.
|
금수육군전 (金水六君煎) |
폐와 신장이 함께 허하고, 차가워 습기가 마른 증세이기 때문에 담이 많고 숨이 차는 해소를 다스린다.(마른 기침, 밭은 기침)
|
숙지황 12~20g, 당귀, 반하, 백복령/각 8g, 진피 6g, 감초 4g, 백계자 2.8g(기운이 없는 자는 쓰지 못한다.), 생강 5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30분~1시간에 복용한다.
|
기침산 (起枕散) |
출산 후에 악혈이 빠져 나오지 않아 고통받는 증세를 다스린다.
|
당귀, 백작약/각 8g, 천궁 6g, 백지, 계심, 포황, 목단피, 현호색, 오령지, 몰약/각 1.2g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전 공복에 식초를 약간 타 마신다.
|
길경지각탕 (桔梗枳殼湯) |
장부가 허하고 차가워져서 배꼽을 중심으로 배가 아픈 증세와 찬 설사를 낫게 한다. 이 약에다 가자와 육두구를 더하면 육주산이 된다. 가슴과 명치가 단단하게 뭉쳤을 때도 효과적이다.
|
길경, 지각/각 8g, 감초 4g, 생강 5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이상 식후 30분에 복용한다.
|
길경탕 (桔梗湯) |
폐에 종기가 났을 때, 기가 웅결되어 아픈 증세를 다스린다.
|
길경, 패모/각 4.8g, 과루인, 의이인, 당귀/각 4g, 상백피, 지각, 황기, 방풍, 행인, 백합, 감초/각 2g, 생강 3쪽
|
이상의 약재에 한 대접의 물을 붓고 물이 반쯤 될 때까지 달인다.
|
1일 3회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