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 화 가(獻花歌)
紫布岩乎 ○希 자줏빛 바위 가에
執音乎手母牛放敎遣 잡고 가는 암소를 놓게 하시고
吾 ○不喩慙○伊賜等 나를 부끄러워 하지 않으신다면
花 ○折叱可獻乎理音如 곷을 꺾어 바치오리다.
신라 성덕왕 때 순정공이 강릉 태수로 부임할 적에, 도중에 바닷가에 머물러 점심을 먹었다.
그 옆에는 천 길 높이의 바위 봉우리가 있어 병풍과 같이 바다를 둘었으며,
꼭대기 위에는 철쭉꽃이 만발하게 피어 있었다.
순정공의 부인인 수로부인이 그것을 보고 좌우에 있는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 꽃을 꺾어다 바칠 사람이 그 누구인고? " 라고 하니, 그 따르던 무리들이 대답하기를,
" 그곳은 사람의 발자취가 이르지 못하는 곳이옵니다.
"하며 위험하여 모두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하였다.
그 때 곁으로 암소를 끌고 지나가던 노옹이 수로 부인의 말을 듣고는
그 꽃을 꺾어 오고 또한 노래를 지어서 바치었다.
그 노옹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었다.
'고전~우리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솔가 (0) | 2015.09.27 |
---|---|
원 가 (怨歌) (0) | 2015.09.27 |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0) | 2015.09.27 |
원왕생가(願往生歌) (0) | 2015.09.26 |
풍요 (0) | 201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