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治癰疽初發憎寒壯熱甚者頭痛拘急狀似傷寒四五日前二三服輕者自消若不消宜服仙方活命飮羌活獨活柴胡前胡桔梗川芎赤茯巔金銀花枳殼連翹防風荊芥薄荷甘草各七分右犫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醫鑑》
◈옹저가 생길 때 오한과 열이 나다가 심해져서 머리가 아프고 팔다리가 가드라드는 것이 상한(傷寒)과 비슷한 것을 치료한다. 4-5일에 2-3번 먹으면 경(輕)한 것은 저절로 삭는다. 만일 삭지 않으면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을 쓰는 것이 좋다.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시호, 전호, 도라지(길경), 궁궁이(천궁), 벌건솔풍령(적복령), 금은화, 지각, 연교, 방풍, 형개, 박하,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감(醫鑑)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구성약재 감초(甘草): 2.625 g. 강활(羌活): 2.625 g. 금은화(金銀花): 2.625 g. 길경(桔梗): 2.625 g. 독활(獨活): 2.625 g. 박하(薄荷): 2.625 g. 방풍(防風): 2.625 g. 시호(柴胡): 2.625 g. 연교(連翹): 2.625 g. 적복령(赤茯苓): 2.625 g. 전호(前胡): 2.625 g. 지각(枳殼): 2.625 g. 천궁(川芎): 2.625 g. 형개(荊芥): 2.6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구급(拘急) 양 옆구리, 팔다리, 아랫배의 근육이 수축해서 펴거나 오므리는 것이 잘 안되는 증. 대개 사지(四肢), 양협(兩脇), 소복(少腹)에 나타난다. 사지구급은 근병(筋病)에 속하고 육음(六淫)으로 근맥이 손상되거나, 혈허(血虛)로 근육에 영양을 못 주어 발생함. 간의 소설기능장애로 생기면 양 옆구리에 오고, 신양부족으로 생기면 방광의 기화작용이 안되어 아랫배가 구급하고 소변이 잘 통하지 않음.
두통(頭痛) 머리 전체 및 앞, 뒤, 옆 등이 아픈 것을 총괄하여 말함. [소문(素問)] <평인기상론(平人氣象論)>에 나옴. 두동(頭疼)이라고도 한다. 머리는 제양(諸陽)이 모이는 곳이자 정명(精明)의 부(府)이므로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혈(氣血)이 모두 여기에 모인다. 육음(六淫)을 외감하거나 장부(臟腑)가 안에서 손상되어 양기(陽氣)가 막혀 탁사(濁邪)가 위에 머물거나 간양(肝陽)이 치솟아 정수(精髓)와 기혈(氣血)이 이지러져 경락(經絡)이 제대로 돌지 못하는 경우, 모두 두통을 일으킬 수 있다. 이명 ; 두동(頭疼) 양방병증 ; 두통; 수두증; 저혈압; 편두통; 뇌경색증; 뇌내출혈; 긴장형 두통; 머리내 손상; 삼차 신경통; 이차 고혈압; 거미막밑 출혈; 뇌의 기타 장애; 고혈압성 뇌병증; 뇌의 악성신생물; 바이러스 수막염; 송이두통 증후군; 신경계통의 결핵; 편두통 지속상태; 기타 두통 증후군; 삼차 신경의 장애; 상세불명의 편두통; 수막의 악성신생물; 수막의 양성신생물; 기타 뇌신경의 장애; 대뇌 혈관의 기타 기형;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대뇌 혈관의 동정맥 기형; 뇌염, 척수염 및 뇌척수염; 기타 비외상성 머리내 출혈; 조짐이 없는 편두통[일반 편두통];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수막염; 조짐이 있는 편두통[고전적 편두통]; 대뇌혈관 질환에서의 뇌혈관 증후군;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및 관련 증후군; 수막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뇌 및 기타 중추 신경계통 부위의 양성신생물; 뇌 및 중추 신경계통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척수, 뇌신경 및 중추 신경계통의 기타 부위의 악성신생물
발열오한(發熱惡寒) 열이 나고 오슬오슬 한기가 드는 증상. 외사(外邪)의 침습이나, 노권내상(勞倦內傷)으로 생김. 먼저 떨리다가 열이 나거나, 열이 나면서 오한이 덜하거나, 발열 후 오한이 날 때도 있음. 풍한사(風寒邪)의 침입으로 생기면 오한이 심하고, 열이 가볍고, 머리와 온몸이 아프며, 땀이 나고, 콧물, 가래가 나고, 목소리가 탁해지고, 설태는 백(白), 박(薄)하고, 맥은 부(浮), 긴(緊)함. 풍열사(風熱邪)로 생기면 열이 높고, 오한이 가볍고, 땀이 약간 나고, 두통이 있고, 입이 마르고, 목구멍이 붓고, 기침이 나고, 설태는 희고 기름때 같으며, 맥은 유(濡), 삭(數)함. 서습사(暑濕邪)로 생기면 열이 높고, 오한은 가벼우며, 두통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고 번거로우며, 오심이 있고, 땀이 나고, 목구멍이 마르고, 소변은 황적색(黃赤色)이고, 설태는 누렇고 기름때 같음. 감기, 상한(傷寒), 온병(溫病) 등 여러 외감병에서 나타남. 양방병증 ; 열증상; 오한감
상한(傷寒) (1) 외감열성병(外感熱性病). [소문(素問)] <열론(熱論)>에서 "열병(熱病)은 모두 상한(傷寒)의 종류이다.(今夫熱病者, 皆傷寒之類也.)"라고 하였다. (2) 외감병의 총칭. 장중경(張仲景)의 [상한론(傷寒論)]에서의 상한은 여러 가지 외감병을 총칭한다. [난경(難經)] <오십팔난(五十八難)>에서 "상한에는 중풍(中風), 상한, 습온(濕溫), 열병(熱病), 온병(瘟病)의 5가지가 있는데, 아픈 곳이 각각 다르다.(傷寒有五, 有中風, 有傷寒, 有濕溫, 有熱病, 有溫病, 其所苦各不同.)"라고 하였다. (3) 한사(寒邪)를 감수한 데서 발생되는 병변. 태양표증(太陽表證). [상한론(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辨太陽病脈證幷治)>에서 "태양병(太陽病)에 발열이 이미 나기도 하고 아직 나지 않기도 하며 오한이 나고 몸이 아프며 구역질이 나고 음맥(陰脈)과 양맥(陽脈)이 모두 긴(緊)한 것을 상한이라 한다.(太陽病, 或已發熱, 或未發熱, 必惡寒, 體痛, 嘔逆, 脈陰陽俱緊者, 名曰傷寒.)"라고 하였다. (4) 겨울에 한사(寒邪)를 감수하여 발생하는 병증. [상한례(傷寒例)]에서 "겨울에 혹독한 추위를 감수한 것을 상한이라 한다.(冬時嚴寒, 觸冒之者, 乃名傷寒耳.)" "상강(霜降) 이후, 춘분(春分) 이전에 이슬이나 안개를 맞아 한(寒)이 침범하여 병이 나는 것을 상한이라 한다.(從霜降以後, 至春分以前, 凡有觸冒露霧, 中寒卽病者, 謂之傷寒.)"라고 하였다. (5) 한사를 감수한 깊고 얕은 정도. [상한전생집(傷寒全生集)] 제1권에서 "사시의 기운에서 겨울에 추워서 아프면 심하고 갑작스런 추위로 아프면 가벼우며, 상한은 심하고 감한(感寒)은 가벼우며 중한(中寒)은 더욱 심하다.(四時天令, 惟冬寒爲重, 暴寒爲輕, 傷寒爲重, 感寒爲輕, 中寒尤甚重也.)"라고 하였다.
옹저(癰疽) (1)기혈(氣血)이 독사(毒邪)에 의해 막혀서(阻滯) 기육(肌肉)과 골(骨) 사이에서 발생하는 창종(瘡腫). (2)옹(癰)과 저(疽)를 묶어 일컬음. 창(瘡) 구멍이 얕으면서 넓은 것이 옹(癰)으로 양(陽)에 속하며, 깊으면서 오래된 것이 저(疽)로 음(陰)에 속한다. (3)큰 부스럼.
양방병증 ; 농양
=================================================================================== 출처 ; 우수경험방집(2004년) 편명 ; 5장 귀질환 - 이과질환(耳科疾患)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강활(羌活): 3.75 g. 금은화(金銀花): 7.5 g. 길경(桔梗): 3.75 g. 독활(獨活): 3.75 g. 만형자(蔓荊子): 3.75 g. 박하(薄荷): 3.75 g. 방풍(防風): 3.75 g. 백지(白芷): 3.75 g. 사삼(沙蔘): 3.75 g. 생강(生薑): 3 조각(片). 시호(柴胡): 3.75 g. 연교(連翹): 3.75 g. 적복령(赤茯苓): 3.75 g. 전호(前胡): 3.75 g. 지각(枳殼): 3.75 g. 천궁(川芎): 3.75 g. 현삼(玄蔘): 3.75 g. 형개(荊芥): 3.75 g. 황금(黃芩): 3.75 g.
조제용법 ; 2 첩으로(재탕 포함) 1 일 3 회 식사 후 1 시간에 복용한다. 급성은 20 첩으로 치유된다. 만성은 20 첩 이상 수제(數劑) 복용한다.
금기사항 ; 복용 중 피해야할 음식 : 닭(鷄), 돼지(猪), 술(酒), 면(麵), 녹두(綠豆)
주치병증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승산(獨勝散) (0) | 2016.01.06 |
---|---|
원지술[遠志酒] (0) | 2016.01.06 |
황감산(黃甘散) (0) | 2016.01.06 |
이향산(二香散) (0) | 2016.01.06 |
오향탕(五香湯) (0) | 2016.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