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룡음(地龍飮) ♣지룡음(地龍飮) ♣ ◈治瀆秇大熱煩燥生地龍大者三條硏細入薑汁薄荷汁生蜜各少許新汲水調下熱熾加龍腦少許《得效》 ◈장학( )으로 열이 몹시 나고 번조한 것을 치료한다. 산 지렁이(生地龍, 큰 것) 3마리. 위의 것을 보드랍게 갈아서 생강즙, 박하즙, 생꿀 각각 조금씩과 함께 새로.. ^*^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2016.01.02
쌍해음자(雙解飮陰子) ♣쌍해음자(雙解飮陰子) ♣ ◈治瀆秇及寒秇神效肉豆埼草豆埼各二箇一箇氖一箇生厚朴二寸一寸薑汁浸灸一寸生用甘草大者二兩一半灸一半生生薑二塊一氖一生右各犫合分二貼入棗二梅一水煎空心溫服《局方》 ◈ 장학( )과 한학(寒 )을 치료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2016.01.02
웅주단(雄朱丹) ♣웅주단(雄朱丹) ♣ ◈治鬼秇大黑豆四十九粒約五錢重端午日以冷水浸從早至巳時去皮望乾硏入信砒末一錢再硏勻恪糊和勻作丸少壯人梧子大老人黃豆大小兒菉豆大雄黃朱砂爲衣望乾收貯臨發五更面東井水下一丸《入門》 ◈ 귀학(鬼 )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큰 것) 49알(약 20g 정도). .. ^*^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2016.01.02
벽사단( 邪丹) ♣벽사단( 邪丹) ♣ ◈治嵐瀆鬼秇菉豆雄黑豆各四十九粒信砒半錢嶽硏黃丹一錢朱砂二錢右爲末滴水和勻分作三十粒每一粒取東南桃枝七枚硏汁和井華水早晨日出時面東呑之虛人愼用《河間》 ◈장학[嵐 ]과 귀학(鬼 )을 치료한다. 녹두(菉豆), 검정콩(흑두) 각각 49알, 신석 2g(따로 가루.. ^*^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2016.01.02
양위단(養胃丹) ♣양위단(養胃丹) ♣ ◈治久秇二三年不愈者蒼朮常山酒蒸各二兩半夏陳皮厚朴各一兩半赤茯巔藿香草果各一兩甘草灸五錢烏梅四十九箇取肉右爲末淡薑湯打糊和丸梧子大薑湯下五七十丸《醫鑑》 ◈오랜 학질이 2-3년 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상산(술에 찐 것) 각각 80g, .. ^*^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2016.01.02
진사원(辰砂元) ♣진사원(辰砂元) ♣ ◈治久秇不損元氣辰砂阿魏眞者各一兩右硏勻稀米糊和丸爣角子大空心以人參湯化下一丸《得效》 ◈오랜 학질을 치료하는데 원기도 상하지 않게 한다. 주사, 아위(좋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고루 갈아서 멀건 쌀풀에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씨(조각자)만하게 알약.. ^*^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2016.01.02
일보일발단(一補一發丹) ♣일보일발단(一補一發丹) ♣ ◈治久秇內傷挾外感間發內治痰外發汗赤茯巔一兩半夏陳皮柴胡黃芩蒼朮葛根各七錢常山三錢右爲末恪糊和丸梧子大白湯下七十丸《入門》 ◈오랜 학질로 내상(內傷)이 되었는데 외감(外感)까지 겹쳐서 가끔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속으로는 담을 치료하고.. ^*^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2016.01.02
십장군환(十將軍丸) ♣십장군환(十將軍丸) ♣ ◈治久秇及秇母縮砂檳峹常山草果各二兩三稜蓬朮靑皮陳皮烏梅半夏各一兩右先將常山草果酒醋各一椀浸一宿後入八味同浸至晩炭火煮乾爲末酒醋各半打糊和丸梧子大白湯下三四十丸日二服服至八兩卽除根《丹心》 ◈오랜 학질과 학모( 母)를 치료한다. 사인, 빈.. ^*^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2016.01.02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 ◈治久秇三五日一發者先以生薑四兩搗取自然汁露一宿次早將人參養胃湯(方見寒門)一貼入棗二梅一同煎去滓和薑汁空心溫服《醫鑑》 ◈오랜 학질이 3-5일에 한번씩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생강 160g. 위의 약을 즙을 내어 하룻밤 이슬을 맞힌다. 그리고 다음.. ^*^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2016.01.02
오두칠조탕(烏頭七棗湯) ♣오두칠조탕(烏頭七棗湯) ♣ ◈治勞秇及寒秇大川烏一箇以鹽水浸礐七次去皮臍右犫分二貼每貼入薑七棗七瘳白三水煎稍冷先喫棗乃服藥《直指》 ◈노학(勞 )과 한학(寒 )을 치료한다. 오두(큰 것으로 소금물에 담갔다가 싸서 굽기를 일곱번 하여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1개. 위의 약을 2.. ^*^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2016.01.02